산업 IT

"노트7 사태 재발 방지"…기술표준원 배터리 품질인증 기준 높인다

사후 관리 강화방안 등도 검토





최근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이 발화 우려로 단종되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 품질인증 기준을 높이고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쪽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당국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시행령이나 규칙 개정 등을 통해 ▦품질인증 기준과 사후관리 강화 ▦제품 성능과 안전성 ‘시험성적서’ 발급채널 재검토 ▦품질인증기관간 협력체계 구축 등의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당국자는 “앞으로 갤노트7의 결함 원인에 대한 한국산업기술시험연구원 등의 조사결과가 나오는 대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책을 논의할 것”이라며 “품질인증 시스템을 포함한 여러 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


현재 삼성전자는 경기도 수원 사업장에서 미국 통신사업자연합(CTIA) 공인시험소를 통해 품질 인증을 하고 있다. 삼성의 자체 시험소이지만 CTIA의 엄격한 기준에 맞춰 세계에서 운영되는 28곳 중 하나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CTIA가 전 세계에서 장비나 품질 등 엄격한 기준에 맞춰 인증한 곳으로 주기적으로 감독을 받고 있다”며 “삼성의 인하우스 시험소이지만 국제 공인을 받은 것과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과거 휴대폰 시장을 주름잡던 노키아와 모토롤라도 신제품의 정보누출 우려를 들어 이처럼 자체 공인시험소를 통해 인증을 받았었다. 다만 애플은 하청 생산하는 곳에서 책임지고 있다. 삼성 측은 “중국 화웨이등은 외부 시험소에서 인증을 받고 있는데 자체 시험소를 갖기 위해 노력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현재 정부는 배터리 시험을 받는 제조사들에게 국내 인증기준인 KC 인증이나 국제인증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국내 품질안전 공인인증 공공기관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KTC) 3곳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제품 시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럴 해저드’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기업이 내·외부에서 품질인증을 거친 후 간혹 자체적으로 제품 사양(스펙) 등을 바꿀 수도 있는데 당국의 손길이 미치지 못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번 주중 갤노트7용 부품 등을 공급한 협력업체 지원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또한 국내 공공기관에 이어 제 3의 해외 인증기관에 갤노트7 단종을 부른 제품 발화 원인 규명을 의뢰하는 방안을 금주중 단행할 계획이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