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지진을 비롯한 재난이 잇따르면서 국내 재난 방지 시스템 시장이 커지고 있다. 부산시와 같은 지자체에서부터 정부 산하기관 등이 잇따라 재난방재 시스템 구축에 나서면서 관련 시장 확대에 따른 중소 벤처 기업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재난 방재 시스템을 공급하는 10여개의 중소 벤처 기업들은 지자체와 정부 산하기관 등으로부터 컨설팅 요청을 받으면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재난방재시스템의 경우 소프트산업진흥법에 따라 연매출 8,0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은 80억원 미만의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며 “결국 중소 벤처 기업만이 이들 시장에 진입할 수 있어 중소기업 업계에서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들이 주로 공략하는 사업분야는 재난방지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 대신 사업장 내의 시스템 설치와 공식화된 재난 대응 절차에 대한 서비스 구축으로 모아진다. 이미 국민안전처는 각 지자체와 연결된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가 신고할 경우 자동으로 해당 지역내 주민들에게 재난 관련 문자를 발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과 지자체들은 사업장과 공공기관 내의 자체적인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이중 삼중의 시스템 구축 효과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최영호 유엔이 부사장은 “유해물질 누출에서부터 태풍, 홍수, 지진, 폭설 등의 재난 발생에 대비한 대응매뉴얼을 탑재한 시스템에 대한 문의가 많다”며 “시장에서는 재난 발생시 담당자가 당황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을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실제 한국남동발전 등의 일부 사업장은 매뉴얼화된 대응 시스템 구축을 마쳐 임직원들에게 비상상황에 맞는 대응절차를 현장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재난정보학회의 한 관계자는 “재난 방지 시스템에서 앞선 일본의 경우 엘리베이터에서도 비상 상황 발생시 연락을 취해 9초 이내에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각 사업장과 지자체에서 국민안전처의 초기 대응과 별도로 자체적인 대응책 마련에 분주해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