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송민순 vs 김만복·이재정·백종천 회고록 진실공방

-김·이·백 “이미 결정 난 상황에서 北 의견 물어볼 필요 없어”

-송 “진실은 변하지 않아”

-김만복, 이재정, 백종천 공동 저자로 책 펴내기도

2007년 8월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모인 회의에서 대화하는 참여정부 인사들. 왼쪽부터 송 전 장관,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 김 전 국정원장,이 전 통일부 장관./연합뉴스2007년 8월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모인 회의에서 대화하는 참여정부 인사들. 왼쪽부터 송 전 장관,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 김 전 국정원장,이 전 통일부 장관./연합뉴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을 두고 참여정부 인사들의 진술이 엇갈리고 있다. 송 전 장관을 제외하고 김만복 전 국정원장,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종천 전 청와대 안보실장은 송 전 장관의 회의록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반격에 나섰다. 이 전 장관·김 전 원장·백 전 안보실장은 2015년 ‘노무현의 한반도 평화구상’ , 2013년 ‘한반도 평화의 길’을 공동으로 발간하기도 했다.


가장 첨예하게 대립 되는 부분은 송 전 장관이 2007년 노무현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에 기권하는 과정에서 북한에 의사를 타진했다고 한 점이다. 송 전 장관은 외교부와 국정원, 통일부의 의견이 엇갈리자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전 대표가 북측의 입장을 들어보기로 하자고 최종 결정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재정 교육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그건 상식적으로 안 되는 얘기다. 북한 얘기를 들어볼 이유가 뭐가 있겠냐”고 반박했다. 이미 대통령이 주재하는 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 투표에 기권하자는 입장이 정해졌기 때문에 북한의 의사를 물어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문 전 대표의 경우 인권 문제에 대해 보편적인 가치가 있다고 찬성 의견을 냈다가 전체 입장이 기권으로 가니 수용했다”며 “나에게도 메모가 있다. 송 전 장관의 기억이 정확하지 않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만복 전 국정원장도 “이미 정부의 입장이 결정됐는데 북측에 물어보는 그런 바보가 어딨느냐”며 송 전 장관을 고발해야 한다고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장은 “회고록에 실린 외교기밀 누설에 대해 송 전 장관을 국가기밀누설죄로 고발해야 한다”며 “회고록이 문 전 대표의 흠집 내기용”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백종천 전 안보실장도 “회고록 내용은 말이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송 전 장관은 “정치적 의도로 쓴 글이 아니다”라며 “진실은 바뀌지 않는다. 회고록에 쓴 것 그대로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이어 김 전 원장이 ‘송 전 원장을 고발해야 한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그런 정도는 감안하고 책을 썼다”고 밝혔다.

회고록 공방이 송 전 장관과 이 전 장관·김 전 원장·백 전 안보실장의 대결로 흘러가는 가운데 문 전 대표는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해 논란이 더욱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