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힘실어준 국정원장 “송민순 회고록, 사실 같다”

■이병호 원장, 국회 정보위 국감서 밝혀

“문재인, 김만복 ‘北 의견 묻자’ 제안 받아 들였을 것”

野 “자료도 본적 없이 사견 밝혀 부적절” 강력 반발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19일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의 국정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19일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 청사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의 국정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19일 진실공방으로 번지고 있는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에 대해 “회고록이 구체적으로 기술돼 사실이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여권의 주장에 동조했다. 이 원장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북한 의견을 묻고 대북인권결의안 기권 여부를 결정하자는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제안을 수용했다’는 회고록 내용에 대해서도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련 자료 확인도 없이 개인적인 느낌으로 국정원장의 의견을 밝힌 것을 두고 야권에서 “적절하지 못한 태도”라고 반발하는 등 논란이 예상된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새누리당 정보위 간사인 이완영 의원이 전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이 원장은 “송 전 장관의 회고록은 치밀한 근거를 가지고 기술한 것으로 생각한다”며 “알려질 일은 다 알려졌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김만복 전 국정원장이 북한에 의견을 물어보자고 제안한 것은 맞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이 원장은 “맞다고 생각한다”고 답했고 김 전 원장의 제안을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전 대표가 수용했냐는 질문에도 “맞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이 원장은 대북인권결의안을 기권하기로 참여정부가 결정한 시점에 대해서는 2007년 11월20일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2007년 11월18일 북한의 입장을 청취하고 최종 결정을 내렸다는 송 전 장관의 회의록이 옳다고 본다는 셈이다.

관련기사



이 원장은 국정원이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관련 자료 발견 여부와 공개 시점에 대해서는 “NCND(neither confirm nor deny·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의 원칙이 적용돼 당장은 밝힐 수 없다”며 “자료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고 당시 기밀이었으면 지금도 기밀이므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원장은 ‘자료를 근거로 한 답변이냐’는 질문에 “자료를 본 것은 없다”고 밝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적인 사견’임을 전제로 한 발언이지만 이 원장의 발언이 공식적인 국정감사 현장에서 나온 국정원의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 원장은 송 전 장관과 달리 대다수의 참여정부 인사가 송 전 장관의 회고록 내용을 부인하는 것에 대해서도 “다수의 사람이 다른 기억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마땅히 존중돼야 한다”며 한발 물러서기도 했다.

이 원장이 모호한 답변을 계속하자 여권은 물론 야권에서도 이 원장이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이 원장의 발언으로 상황이 외통수로 흘러갔기 때문에 국정원이 자료를 공개하라”고 주장했고 이에 이 원장은 “자료를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자료를 밝혔을 때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되느냐 하는 기준에서 볼 때는 말할 시점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또 이 원장은 2002년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에 건너가 김정일 위원장과 만난 것에 대한 입장을 밝히라는 야당의 의견에 대해서는 답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