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토지지원리츠, 민간제안 받는다

11월에 2,500여가구 사업지 민간 공모

자료=국토교통부자료=국토교통부




뉴스테이(기업형임대주택) 리츠 사업자들의 토지 매입 부담을 줄이고 재무적투자자(FI)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된 ‘토지지원리츠’가 다음 달에 처음으로 민간 제안을 받는다.

19일 부동산금융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오는 11월 민간 사업자를 대상으로 토지지원리츠 사업지 공모를 실시한다. 기금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자해 설립한 토지지원리츠는 뉴스테이 사업지 토지를 매입해 뉴스테이리츠에 저렴하게 임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뉴스테이리츠 사업자 입장에서는 총 사업비를 줄이고, 토지매입비용 조달에 따른 금융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중간배당을 지급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긴다. 이 같은 방식이 도입되면 FI들의 지분 투자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민간 공모를 통해 토지지원리츠 사업지 선정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토부와 HUG는 오는 11월 2,500여 가구에 해당하는 토지지원리츠 사업지 공모에 나설 계획이다. HUG 관계자는 “사업장 단위가 크면 한 개 사업장, 500가구 정도라면 5개 사업장 까지 선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민간을 대상으로 모집하는 토지지원리츠 사업지는 도심 지역 위주로 선정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심 내에서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지역이어야 하며, 도시재생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지, 향후 임대주택이 노후화되었을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토지인지 등을 주로 평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반응도 긍정적이다. 뉴스테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한 운용사 관계자는 “정부는 장기적인 이익 취득을 목적으로 하고 대신 임대사업자에게 저렴함 임대료로 토지를 공급할 수 있다면 민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토부는 올 초 뉴스테이리츠에 대한 민간 투자자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토지지원리츠를 도입했으며, 지금까지는 LH가 보유한 토지에 대해서만 토지지원리츠 방식이 도입됐었다. ‘영등포 교정시설부지’와 LH 공모형 뉴스테이 7차 사업지인 ‘서울 양원 C-3블록’이 이에 해당한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