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내 연구진, 유방암 일으키는 호르몬 조절 유전자 발견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융합의학과 박운용·강명희 교수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융합의학과 박운용·강명희 교수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젠’을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를 발견했다.

국내 유방암 환자의 약 70%가 에스트로젠으로 인해 암이 발생하는 만큼, 향후 유방암 치료에 희망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융합의학과 박윤용·강명희 교수팀은 미국 암 유전체 지도에 등록된 한국·중국·미국 등 유방암 환자 약 1,20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MSI2’라는 유전자가 유방암 세포의 생성 및 성장을 일으키는 에스트로젠 호르몬 수용체(ER)를 안정화시키는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에스트로젠은 암세포로 쉽게 변하는 가슴의 유관 상피세포를 증식시키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등 유방암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에스트로젠이 유방암 세포 등에 반응하고 작용하기 위해서는 세포질이나 핵에 존재하는 에스트로젠 수용체(Estrogen Receptor;ER)가 활발히 기능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수용체를 MSI2 유전자가 조절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MSI2 유전자의 에스트로젠 수용체에 대한 작용 기전을 분석했다. 그 결과, MSI2 유전자가 에스트로젠 수용체 유전자의 RNA에 직접 결합해 에스트로젠 수용체 단백질의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관련기사



또한 유전체 분석을 거친 에스트로젠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MSI2 유전자 발현이 높은 환자가 낮은 환자에 비해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암 재발률은 낮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항호르몬제를 투여한 환자의 경우 MSI2 유전자 발현이 높을 경우 생존율이 유의하게 상승했으며 재발률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MSI2 유전자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결국 항호르몬 제제에 대한 반응성을 높여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박윤용 교수는 “그동안 에스트로젠 수용체 활성화에 어떤 유전자가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특정 유전자(MSI2)를 활용한 새로운 유방암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암 전문지 ‘온코진’(Oncoge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