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한노총도 민노총도 싫다는 노동현장 목소리 들리나

일반 조합원들이 상급단체에 등을 돌리는 현상이 갈수록 두드러지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에 가입하지 않은 미가맹 조합원 수는 44만5,603명으로 3년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일선 노조 중 상급단체 미가맹 조합원의 비중이 역대 최고치인 23.0%까지 치솟아 양대 노총의 세력 확장이 한계에 직면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양대 노총이 철저히 외면받는 것은 임금 같은 근로조건과 복리후생보다 정치투쟁을 일삼는 상급단체에 염증을 느끼는 조합원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계가 지난달 사회 공공성을 내걸고 밀어붙였던 최대 규모의 총파업이 조합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해 투쟁동력을 상실한 게 단적인 예다. 현대자동차 노조만 해도 금속노조 총파업에 맞춰 무리한 투쟁에 동원되는 바람에 사내복지는커녕 3·4분기 역대 최악의 경영실적을 냈다는 내부 비판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니 상급단체의 무책임한 파업 지시로 애꿎은 조합원들의 생계에 차질을 빚는다는 하소연이 쏟아져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관련기사



노조는 조합원의 근로조건 개선과 경제·사회적 지위 향상을 본업으로 삼아야 한다. 상급단체들이 정치투쟁과 조직보호에만 매달려 조합원의 정당한 권리를 내팽개치는 행태는 하루빨리 사라져야 한다. 양대 노총은 이런 현장의 목소리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선진국 노조들은 조합원들에게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전직 프로그램까지 마련해주는 등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다. 노조도 시대변화에 발맞출 수 있어야 비로소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