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후 항만 재개발...일자리 6만개 만든다

정부 2020년까지 5조5,000억 투입

KTX·국제공항 연계한 생활권 조성



정부가 항만과 고속철도(KTX)·국제공항을 잇는 생활권을 만들기 위해 5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1일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심의를 열어 ‘제2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을 31일 확정·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은 노후화·유휴 상태인 항만과 주변 지역을 체계적으로 개발해 기능을 재편하고 주변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10년 단위로 수립된다. 해수부는 계획 수립을 위해 2014년 6월부터 전국 60개 항만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민간업체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었다.


해수부는 제2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에서 오는 2020년까지 13개 항만의 노후화·유휴화된 항만공간 18개소를 재개발해 미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 국민 행복 공간을 조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약 5조5,000억원을 투입, 생산유발 효과 9조원과 6만개의 일자리를 만들 방침이다.

관련기사



특히 해수부는 전국 주요 항만과 광역교통 거점도시를 하나로 이어 ‘지역행복생활권’을 만들 계획이다. 전국 주요 KTX와 관문시설(국제공항·무역항·크루즈)을 연계해 항만과 광역교통 거점도시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을 예정이다. 이 계획으로 항만 주변 지역 주민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인구·관광객 유입이 늘어나는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 지역 특성에 맞게 △도심기능 복합거점(부산항·고현항·인천항·포항항) △해양산업·물류거점(광양항·대천항) △해양관광·여가거점(인천항·동해묵호항·여수항·목포 남항·구룡포항·부산항·제주항·서귀포항) △개항역사·문화거점(군산항·목포항) 등 네 분야로 나눠 재개발을 추진한다. 재개발사업으로 조성한 토지를 산업용지로 활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해양 클러스터,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형 산업, 석유화학, 수산 가공 등 복합적인 경제활동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번 계획에서 해수부는 지구계획을 구체적인 시기나 사용 용도를 지정하지 않고 △해양문화관광지구 △복합도심지구 △복합산업물류지구 △복합항만지구 △교육연구·공공시설지구 등 포괄적으로만 구분했다. 이는 재개발사업 시행자가 창의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