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정부 “조선 빅3 유지… 11조원 규모 선박 발주”

유 부총리, 조선·해운 경쟁력 강화 방안 발표

“대우조선, 경쟁력있는 부문 중심으로 효율화”

대우조선·현대重·삼성重 빅3 체제 유지 밝혀





[앵커]

정부가 대우조선해양의 회생쪽으로 방향을 잡고 조선 빅3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위기에 처한 조선업체들에게 일감을 주기 위해 11조원 규모의 선박 발주를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한,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조선업 밀집지역에 대한 특별 지원방안도 마련했습니다. 박미라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산업경쟁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선·해운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유 부총리는 “채권단 관리 아래 있는 대우조선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주인찾기’를 통해 책임경영을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조선 빅3 체제를 유지하되, 대우조선해양의 사업분야를 대폭 축소한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정부는 조선업 부실의 주요 원인인 해양플랜트 부문은 축소하고, 대형 컨테이너선과 LNG선 등 경쟁 우위에 있는 선박 중심으로 사업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관련기사



단기적인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선박 조기 발주와 선박펀드 활용을 통해 2020년까지 250척이상, 11조원 규모의 선박 발주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국내 조선업체들의 선박 수주량은 9월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87% 급감했고,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과 비교해도 전망이 어두운 상황입니다.

아울러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조선업 밀집지역에 대한 경제활성화 방안도 발표했습니다.

경남과 울산, 전남과 전북, 부산 등 조선 밀집 지역에 2020년까지 3조7,000억원 규모의 특별지원에 나서기로 한 것입니다.

우선 내년까지 조선연관업체들의 자금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조7,000억원을 투입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조선업을 보완할 수 있는 지역별 전략 사업을 찾기 위해 2020년까지 1조원을 신규 투자합니다.

정부는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제도를 도입해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한다는 방침입니다. / 서울경제TV 박미라입니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