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심장동맥 스텐트 시술환자 31% 1년내 항응고제 중단

신동욱 교수팀…기존 연구의 2~4배

“심근경색증 위험↑ 교육·홍보 필요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심장동맥)에 망 형태의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받은 환자 10명 중 3명꼴로 항응고제 복용을 조기에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신동욱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2009~2011년 국민건강보험 적용인구의 2%(표준 코호트) 중 관상동맥에 혈관 벽 증식억제 약물이 부착된 스텐트(DES) 시술을 받은 2,002명의 항응고제 처방자료 등을 조사한 결과 9%가 6개월 안에, 31%가 1년 안에 복용을 중단했다.

이는 병원들이 임상 데이터를 토대로 발표했던 기존 복용중단율 연구 결과의 2~4배나 된다. 국내외 심장학회 등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스텐트를 삽입하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경우 최소 12개월 동안 아스피린·클로피도그렐 등 항응고제를 함께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심장 근육층·바깥막에 혈액을 통해 산소·영양분을 공급하는 3개의 관상동맥이 혈전 등으로 다시 막히거나 좁아져 가슴통증, 심장근육 괴사 등을 초래하는 협심증·심근경색증 재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다.


하지만 신 교수팀이 항응고제 처방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멋대로 복용을 조기 중단하는 환자가 종전 연구에 비해 상당히 많았다. 기존의 병원 임상연구들은 의료진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약물을 좀 더 잘 복용하는 경향이 있다.

관련기사



신 교수는 “클로피도그렐 등은 1년 복용 후 처방을 중단하더라도 아스피린은 계속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며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아 가슴통증이 호전됐다고 자의적으로 항응고제 복용을 조기 중단하면 심근경색증 등의 재발 위험이 커지므로 적극적인 환자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와 비만인구 증가로 관상동맥질환을 앓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관상동맥중재술을 받는 환자도 연간 4만여명에 이른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심장학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