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미국 대선]트럼프 사실상 당선권, 금융당국 "비상대응팀 본격 가동"

컨틴전시플랜 재점검 등 분주

트럼프 발 시장 충격이 현실화하자 금융당국도 즉각 대응 체제 마련에 나선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9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긴급 금융시장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앞으로의 시장 변화에 대한 예측과 단계 별 컨티전시플랜(비상대응 방안)에 대해 검토키로 했다.


금융당국의 대응 카드는 외환 및 채권시장 →주식시장 → 은행 및 금융기관 대응 순으로 요약된다. 우선 외환 및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의 이탈이 가속화되는 경우 한국은행이 유동성 공급으로 급한 불을 끌 방침이다. 지난 6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여파로 외환시장이 일시적으로 출렁이자 한은은 구두개입과 더불어 통화안정증권 발행, 통화안정계정 예치,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 등 공개시장운영을 통해 3조원의 긴급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2단계는 주식시장에 대한 대응이다. 단 기간 코스피지수가 급락할 경우 일시적 공매도 제한 조치와 증시안정펀드 조성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한다는 게 당국의 복안이다. 공매도 제한 조치 발동 기준점은 코스피지수를 기준으로 1,700선 안팎이 거론된다. 증시안정펀드 역시 올 6월 브렉시트 당시 관계기관간 분담 규모에 대한 논의를 마친 만큼 공매도 제한 조치와 동시에 가동할 방침이다. 규모는 2003년 카드대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 때와 유사한 4,000~5,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당국이 특히 예의주시하는 부분은 시중은행의 외화 유동성 고갈이다. 시중은행의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지면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 확대와는 차원이 다르다. 다만 당장의 충격에 시중은행들이 휘둘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우선, 은행 건전성의 잣대인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 양호하다. LCR은 한 달을 기준으로 국채를 비롯한 고유동성 자산을 순현금유출로 나눈 수치로 비율이 높을수록 외화자금인출이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견딜 수 있다는 뜻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6월 ‘외환건전성 제도 개편 방안’을 통해 내년부터 시중은행의 외화 LCR 비율을 60% 이상으로 의무화하고 매년 10%포인트씩 높여 2019년에는 80%를 넘기도록 했다. 현재 시중은행 대부분은 이미 60% 이상의 외화 LCR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하짐나 전방위적인 외화인출 사태에 대비해 시중은행들 해외 금융기관으로부터 외환을 꿔 올 수 있는 권리인 ‘커미티드 라인(Committed Line)’의 한도를 높이고 추가적으로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시장 상황에 따른 단계별 컨티전시플랜을 재점검하고 있다”며 “시장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즉각 대응 체제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