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13일 “최근 글로벌 장기채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른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우선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비해 각 금융사가 내부 리스크 관리 계획의 재점검에 나서도록 했다”고 말했다.
장기채란 주로 만기가 10년 이상 되는 채권을 말한다. 금융기관의 자금조달 비용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업의 투자의사 결정을 좌지우지하는 주요 경제변수다. 금융기관의 자산·부채 관리에서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장기채 금리는 중요하다. 장기채 발행에 자금조달을 상당 부분 의존하는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금리가 오를 경우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한 달 전인 10월 중순만 하더라도 1.7~1.8% 수준이었으나, 한 달 만에 2.1%대로 뛰었다. 2013년 ‘테이퍼 텐트럼’ 이후 10년물 금리가 3%대로까지 뛰기도 한 만큼 주기적인 순환 패턴에 불과하다는 시각이 있는 반면 지난 10년간의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는 신호라는 분석도 나온다,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지난 8일 블룸버그TV에 출연해 “현재 진행되는 대로 물가 상승세가 강해지면 곧 이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던 10년물 국채금리 등 장기 금리가 대대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해 후자의 시각을 뒷받침했다.
트럼프 후보의 당선은 이런 금리 상승 기대감을 부채질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공약대로 정부 지출이 늘어나고 일자리도 많아지면 인플레이션 기대감이 커지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트럼프의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효과 기대가 커지자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를 ‘트럼플레이션’(Trumpflation)이라고 표현했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금융·통화 당국도 금리 상승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장기금리 인상은 12월 연준의 금리 인상과는 별개로 구조적인 요인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