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8시10분까지 입실, 2017 수능 작년과 달라진 점 많아 ‘부정행위’ 주의

8시10분까지 입실, 2017 수능 작년과 달라진 점 많아 ‘부정행위’ 주의8시10분까지 입실, 2017 수능 작년과 달라진 점 많아 ‘부정행위’ 주의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7일 오전 8시40분부터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될 예정이다.


올해 수능은 학생수 감소로 지난해보다 2만5199명 감소한 60만5988명이 응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험은 1교시 국어영역을 시작으로 Δ2교시 수학(10:30∼12:10) Δ3교시 영어(13:10~14:20) Δ4교시 한국사·탐구(14:50∼16:32) Δ5교시 제2외국어·한문(17:00~17:40) 순으로 오후 5시40분까지 진행된다.

수험생은 늦어도 오전 8시10분까지 시험장에 입장해야 한다. 1교시 국어영역을 선택하지 않은 수험생도 이 시간까지 입실해 감독관에게 컴퓨터용 사인펜과 샤프를 받고 안내에 따라 지정된 대기실로 이동했다.

수험표를 분실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재발급 받을 수 있다. 응시원서에 붙인 사진과 같은 원판으로 인화한 사진을 지참해야 시험장에 설치된 시험관리본부에서 다시 발급받는 것이 가능하다.

반입금지 물품은 아예 시험장에 가져가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시험장에는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 등 모든 전자기기의 반입이 금지되기 때문.

특히 시계는 시침과 분침이 있는 아날로그 시계만 가능하다. 지난해와 달리 시각과 교시별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이른바 ‘수능시계’도 가지고 들어갈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득이하게 시험장 반입이 금지된 물품을 가지고 왔다면 1교시 시작 전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제출해야 불이익이 없다. 가지고 있다가 적발되면 부정행위로 간주해 시험이 무효 처리되기 때문.


4교시 한국사는 필수이기 때문에 반드시 응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사를 응시하지 않으면 수능시험 성적 전체가 무효처리된다.

관련기사



한국사와 이어지는 탐구영역에서는 수험생의 선택과목과 상관없이 모든 과목의 문제지가 분배된다. 수험생은 자신이 선택한 과목 문제지만 책상 위에 올려놔야 하며, 탐구과목 2개 선택과목 시험지를 동시에 보거나 해당 선택과목 외에 다른 과목의 시험지를 보면 부정행위로 간주된다.

지난해와 달리 탐구영역을 1개 과목만 선택한 학생이 대기시간에 자습을 하는 것도 부정행위다. 1개 과목만 응시하는 학생은 한국사시험을 본 뒤 배부받은 답안지를 책상에 뒤집어 놓고 가만히 기다려야 한다.

수능으로 관공서와 기업체 출근시간은 오전 9시에서 10시로 늦춰졌다. 수도권 전철과 지하철은 출근길 러시아워 운행시간을 2시간 연장하고 운행횟수도 28회 늘어났다.

시내버스도 오전 6시부터 수험생 입실시간인 8시10분 사이에 집중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택시도 오늘 하루 부제 운행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이 금지된다. 수험생도 여기서 차에서 내려 시험장까지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3교시 영어영역 듣기평가 시간인 오후 1시10분부터 25분간은 ‘소음통제시간’으로 결정했다. 항공기 이착륙이 금지되고 버스, 열차 등은 시험장 주변에서 서행하고 경적 사용을 피해야 한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이 끝난 뒤부터 21일까지 문제와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고 오는 28일까지 최종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성적통지표는 다음달 7일 수험생에게 분배된다.

[사진=KBS 뉴스화면 캡처]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