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여성 취업자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평균 근속기간 3.4년 불과

고용정보원, “출산·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안 없어져”

여성취업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출산·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은 여전히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20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DB)로 살펴본 여성고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취업자 수는 1,096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20만5,000명 늘어났다. 2005년 952만6,000명이었던 여성취업자 수는 2010년 991만4,000명으로 늘어난 후 2011년 1,091만명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이후에도 매년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여성고용률은 전년보다 0.4%포인트 높아진 49.9%로 198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성취업자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용 불안정은 여전했다. 고용보험에 가입한 여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 기간은 지난해 3.4년으로, 남성 근로자(5.5년)보다 2.1년이나 짧았다. 이는 10년 전과 비슷한 상황이다. 2005년에도 남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 기간은 5.2년이었지만, 여성은 3.0년에 불과했다. 최근 10년간 남녀의 평균 근속 기간 격차는 줄곧 2.1∼2.2년으로 좁혀지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해 10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비중을 보면 남성 근로자가 18.4%에 달한 데 비해 여성 근로자는 8.1%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여성 경력단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더구나 여성 근로자의 자발적인 퇴직도 있지만, 사측의 종용으로 퇴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윤정혜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여성취업자를 늘리려는 정부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여성근로자는 출산·육아, 성차별 관행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로 상대적으로 근속기간이 짧고 빈번한 이직을 경험하고 있다”며 “여성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