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머니+ 글로벌HOT스톡]메이디그룹

中 에어컨·소형가전 점유율 30% 달해

공격적 M&A로 산업로봇시장까지 진출





강현진 삼성증권 연구위원강현진 삼성증권 연구위원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메이디그룹은 칭다오하이얼, 거리전자와 함께 중국 3대 가전업체로 꼽힌다. 1968년 설립됐으며 세탁기, 에어컨, 주방용 가전제품 등에서는 독보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다. 현재 ‘소천아’, ‘위령홀딩스’ 등 상장 자회사를 포함해 10여개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전체 매출의 80%는 에어컨과 소형 가전제품에서 나오는데 올해 중국 소형가전 분야에서 메이디그룹의 시장점유율은 3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국은 구매력 상승과 도시화로 프리미엄 가전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또 포화상태인 백색가전 시장과 달리 보급률이 낮은 소형가전 부문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어 메이디그룹에 대한 투자 매력이 부각된다. 세탁기 기업인 자회사 ‘소천아’는 지난해 중국 세탁기 시장 침체 속에서도 순이익이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또 다른 자회사인 ‘위령홀딩스’는 백색가전 부품 제조·판매 업체로 일렉트로룩스, 삼성전자, LG전자, 미쓰비시 등 글로벌 가전업체에 제품을 납품하며 좋은 실적을 거두고 있다. 온라인 부문의 실적도 고성장 중이다. 유통채널 간소화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온라인 매출 증가율은 무려 60%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샤오미와 스마트 에어컨을 공동 개발해 출시하는 등 스마트 가전제품 비중도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공격적인 인수합병(M&A)으로 산업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는 점도 메이디그룹의 또 다른 투자매력이다. 메이디그룹은 지난 7월 도시바의 백색가전 사업 지분 인수를 완료했다. 이로써 도시바의 글로벌 판매권 및 백색가전 특허를 보유하게 됐으며 7월부터 메이디그룹의 실적에 반영됐다. M&A를 통해 로봇사업에도 진출했다. 지난 8월 일본 산업용 로봇 선두기업 ‘야스카와전기’의 중국 자회사와 합자회사를 설립해 산업용 로봇을 생산, 판매 중이다. 지난 5월 인수 계획을 발표한 독일 로봇기업 ‘쿠카(KUKA)’를 통해선 공업용 로봇 및 자동화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더블스마트(스마트홈+스마트제조)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쿠카의 자회사인 물류 자동화 설비기업의 솔루션 도입으로 물류 효율성도 제고하고 있다.

지난 17일 기준 메이디그룹의 주가는 27위안으로 연초 대비 28% 상승했다. 하지만 중국 현지 증권사들은 여전히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투증권은 34위안, 해통증권은 29.77위안, 안신증권은 34위안을 목표주가로 제시하고 있다.

강현진 삼성증권 연구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