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가요

[현장] '2016 MAMA', 단순한 시상식 넘어 '음악플랫폼'으로서 도약 꿈꾼다(종합)

온 세계가 음악으로 하나 되는 글로벌 음악축제 ‘2016 MAMA(Mnet Asian Music Awards,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가 또 한 번 진화한다.

24일 오후 2시 상암 CJ E&M 센터에서는 ‘2016 MAMA‘의 기자간담회가 개최됐다. 현장에는 음악콘텐츠부문 신형관 부문장, 김현수 컨벤션사업국장, 제작총괄 강희정 국장이 참석했다.




‘2016 MAMA’ 기자간담회/사진=CJ E&M‘2016 MAMA’ 기자간담회/사진=CJ E&M


올해 8회째를 맞은 ‘MAMA’는 1999년 ’Mnet 영상음악대상‘으로 시작해 대한민국 음악 산업의 성장과 함께 꾸준히 진화를 거듭해오다, 2009년을 기점으로 ‘MAMA’로 변모했다. 2010년부터는 마카오를 시작으로 글로벌로 진출, 이후 싱가포르, 홍콩으로 개최지를 변경해 전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음악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2016 MAMA‘는 ’커넥션(Connection)이라는 콘셉트로 변화를 꾀한다. 전체적으로 아티스트, 글로벌 음악 팬, 크리에이터를 연결하는 소통의 장으로 혁신을 꾀하는 것.

신형관 부문장은 “그동안 ‘MAMA’는 다른 시상식에서 보여주지 않았던 퍼포먼스나 다양한 기술을 결합시킨 쇼 위주의 무대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고 언급하며 “올해는 조금 더 음악사업자들과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차이점을 설명했다.

‘2016 MAMA‘는 크게 아티스트들의 무대로 꾸며지는 본시상식과 스타들의 향연이 펼쳐지는 레드카펫, 크리에이터스 포럼, 전문부문 시상식과 더불어 유관산업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동반진출 컨벤션으로 구성된다.

현재까지 아티스트 라인업은 EXO, 방탄소년단을 비롯해 세븐틴, 여자친구, 트와이스, 아이오아이, NCT DREAM 등이 공개되었으며, 시상자 라인업으로는 이병헌, 차승원, 하지원, 한효주, 장혁, 한지민, 박기웅, 박민영 등이 출연을 확정 지었다.


강희정 국장은 “방송 무대 최초로 3D 증강현실을 구현 한다”고 설명하며 “2016년 가장 핫한 지코와 딘, 크러쉬가 함께하는 무대가 준비되어 있고, 팀 발랜드가 에릭남과 함께 컬래버레이션한 곡이 ’MAMA‘ 무대에서 최초 공개될 예정이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어 “‘분노의 질주’ OST로 알려진 위즈 칼리파라는 가수도 ’MAMA‘를 찾는다. 빌보드에서도 상을 3번이나 수상하며 음악성도 인정받은 가수다. 아직 밝힐 수는 없지만 K-POP 가수와의 특별한 콜라보가 예정되어 있다. 그리고 방송에서 한 번도 선보인 적 없는 수지와 백현의 ‘드림(Dream)’ 무대가 최초로 공개된다”고 덧붙였다.

‘2016 MAMA’ 기자간담회/사진=CJ E&M‘2016 MAMA’ 기자간담회/사진=CJ E&M


올해 처음으로 신설된 ‘크리에이터스 포럼’은 음악/엔터테인먼트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 세계 음악 시장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고 디바이스, 플랫폼, 매니지먼트 등 다양한 산업을 연결하는 장을 마련한다.

이어 ‘전문부문 시상식’에서는 기술, 예술적으로 아시아 각국의 음악 산업 발전에 기여한 음악산업 전 분야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아시아 각국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음악 전문가를 선정한다.

김현수 컨벤션사업국장은 “아시아 음악 전문가들이 모이는 크리에이터스 포럼을 신설했다. K-POP에 관심이 높은 음악 전문가, 중국시장에 관심이 많은 음악매니지먼트사 등 아시아 음악 전문가들이 이 자리를 통해 음악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고 설명하며 “많은 기조연설자들과 세션이 프로그램으로 준비되어 있으며, 전설적인 프로듀서 퀸시 존스 뿐 아니라, 팀 발랜드도 크리에이터스 포럼에 참석한다”고 전했다.

‘2016 MAMA’에서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중소기업 동반진출 컨벤션’이 진행된다. CJ E&M은 중소기업청 및 대.중소기업협력재단, KOTRA와 함께 지난 9월부터 중화권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모집했다. 특히 올해는 역대 최다인 188개 업체가 지원서를 접수했으며, 이는 지난 2014년(91개사) 대비 2배 이상 증가된 수치로 눈길을 끈다.

김현수 국장은 “단순 음악에 대한 관심 뿐 아니라, 아티스트들이 입고 마시는 부문에까지 열기가 더해지고 있다. 거기에 착안해서 우수한 중소기업 제품들을 모집했고, 그 과정 속에서 패션, 뷰티 용품에 역량을 집중했다.”고 언급하며 “중소기업이 해외진출이나 판로 개척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류의 확산 속에서 유관 산업의 발전을 함께 도모하고자 한다”고 사업 의도를 전했다.

한편, ‘2016 MAMA’는 오는 12월 2일 홍콩 AWE(AsiaWorld-EXPO, 아시아 월드 엑스포, 약 1만석 규모)에서 개최된다. 레드카펫은 홍콩 현지 시간으로 오후 5시부터 저녁 7시, 본 시상식은 저녁 7시부터 밤 11시까지 진행된다. (한국시간 기준 레드카펫 오후 6시부터 저녁 8시, 본 시상식 저녁 8시부터 밤 12시)

이하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