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예술과의 만남’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

말로 (재즈 보컬리스트)



예술이란 무엇일까. 일반인에게 예술은 아직 멀다. 직장은 오늘도 늦게 끝나며 설사 일찍 끝난다 해도 무엇을 어떻게 즐겨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학생들은 예술을 어떻게 즐겨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눠 볼 수업이 없다.

필자는 몇 년 전부터 ‘처음 만나는 재즈 싱잉’이라는 이름으로 마을 사람들과 만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지속적인 예술적 나눔 활동을 통해 시민들과 만날 수 있는 경우는 예외에 가깝다. 이를 자발적으로 할 만큼 예술가들의 생활이 시간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도 한 가지 이유다.


이런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은 예술가는 물론 일반시민들에게도 의미가 있다.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가가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 자신의 경험담과 물론 공연·체험 등도 함께한다. 예술인들에게는 잘 갖춰진 형식으로 재능을 기부할 수 있는 이 만남이 신선하다.

관련기사



올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연을 곁들인 강연을 진행했다. 입시의 외줄 타기 속으로 본격 진입하기에 앞서 자유학기제를 맞은 아이들은 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아가고 있었다. 그들에게 내가 느낀 재즈의 의미와 그 음악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모습을 잠시나마 경험하게 해줄 수 있는 기회가 고마웠다.

예술활동이란 꼭 예술가를 직접 만나야만 실현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까이에 있는 스승, 친구들, 이웃이나 부모님이 그런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자신의 삶을 성찰하며 돌아볼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가진다면 그때 예술 활동은 이미 싹트고 있는 것이다. 예술은 특정 형태의 작품으로 드러날 수도 있지만 실은 우리 모두의 삶 하나하나가 그야말로 진정한 예술 작품이라고 할 만하다.

문득 지나치던 푸른 하늘과 작은 들꽃 한 송이에도 생의 감동을 발견해낼 줄 안다면 우린 이미 예술가다. 이처럼 문화예술가와 대중과의 만남으로 서로의 다양한 삶을 공유하는 순간, 문화예술가 본인에게도 다음 작품에 대한 영감은 물론 삶의 보람과 기쁨까지 느낄 수 있는 ‘특별한 하루’가 될 것이다. 서로의 만남이 문화예술을 즐기는 특별한 하루가 아닌, 일상을 나누는 보람된 하루가 되기를 바란다. 말로(재즈 보컬리스트)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