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용산공원 부지에 새 건물 안짓는다

국토부, 조성계획 '전면 재검토'

"완공시점 여건 변화 따라 조절"

미군부대 이전 이후 국가공원으로 조성하는 ‘용산공원’ 건물 활용방안이 재검토된다. 공원부지 내 새 건물도 짓지 않는다. 또 용산공원 완성시점을 못 박지 않고 여론과 사회여건 변화를 고려해 최대한 유연하게 조절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5일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추진상황설명회에서 이 같은 수정 계획안을 발표했다. 이는 서울시가 주장한 ‘용산공원 부처 나눠 먹기’ ‘난개발 우려’ 등의 의견을 받아들인 결과로 풀이된다.


우선 국토부는 용산공원 부지 내 1,200여개 건축물 중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어 보전이 필요한 80여개를 어떻게 활용할지 재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생태공원을 만든다는 조성이념에 맞춰 용산공원에는 건물을 새로 짓지 않기로 했다. 보전 건축물만 활용해 공원에 필요한 시설을 충당하겠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앞서 국토부는 지난 4월 공청회에서 용산공원 콘텐츠 구성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발표했다. 당시 국토부는 “1,200여동의 건축물 중 보존이 필요한 건축물이 80여동”이라며 “이 중 8개 시설물에 다양한 콘텐츠를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8개 동에 들어가는 콘텐츠가 부처별로 하나씩 배분돼 있다는 점이다. 어린이아트센터(산림청), 여성사박물관(여성가족부), 아리랑무형유산센터(문화재청), 경찰박물관(검찰청), 스포테인먼트센터(문화체육관광부), 아지타트 나무상상놀이터(산림청), 과학문화관(미래창조과학부), 호국보훈조형광장(국가보훈처)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안에 강하게 반발해왔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27년 공원조성 완료’ 등의 일정을 “사회적 총의와 여건 변화에 따라 최대한 유연하게 운용”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오는 2027년은 공원을 완성한다는 의미보다 공원의 기본적인 틀과 토대를 마련하는 시기라고 생각하고 공원 내 콘텐츠는 수 세대에 걸쳐 채워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또 “정확한 현장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미래 세대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확정적 설계안을 최대한 지양하겠다”면서 “용산공원 발전방향을 논의할 심층 토론회를 정례화하고 서울시 등과 실무협의회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