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여 "4월말 퇴진" vs 야 "무조건 탄핵"

여 비주류 朴퇴진시점 압박

"7일까지 밝히면 탄핵 불참"

야3당은 "9일 표결" 초강경

야 3당이 다시 9일 탄핵 표결에 합의했다. 야 3당 원내대표들은 2일 국회에서 만나 2일 탄핵소추안 발의, 8일 국회 본회의 보고, 9일 표결처리 일정에 합의했다. 박지원(왼쪽부터)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연합뉴스야 3당이 다시 9일 탄핵 표결에 합의했다. 야 3당 원내대표들은 2일 국회에서 만나 2일 탄핵소추안 발의, 8일 국회 본회의 보고, 9일 표결처리 일정에 합의했다. 박지원(왼쪽부터)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연합뉴스


여당과 야당이 박근혜 대통령의 ‘내년 4월 말 퇴진’과 ‘무조건 탄핵’으로 정면 충돌하고 있다. 야당과 탄핵 공조에 나섰던 새누리당 비주류는 ‘4월 말 퇴진’으로 입장을 바꾸면서 2일 “(박 대통령은) 오는 7일 오후6시까지 퇴진 시점을 밝히라”고 압박했다. 박 대통령이 구체적인 퇴진 시기만 밝히면 야 3당 주도의 탄핵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것이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이 스스로 물러나겠다고 하는데 굳이 탄핵 절차를 밟으면 정국상황이 불확실해지고 큰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여당은 야당이 대통령 탄핵을 조기 대선 등 정국 주도권 확보를 위해 최대한 유리하게 활용하려 든다고 의심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무조건 9일 탄핵을 추진하겠다는 초강경 모드로 돌아섰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정의당 등 야 3당은 이날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고 8일 국회 본회의 보고를 거쳐 9일 표결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야 3당은 여당 비주류의 협조를 얻어 탄핵 가결을 목표로 하겠다는 분위기가 강했다. 하지만 2일 야 3당은 여당 비주류의 ‘탄핵 회군’ 및 박 대통령 퇴진 선언과 무관하게 탄핵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이 말한 임기단축은 개헌으로만 가능해 사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탄핵 이외의 모든 복잡한 계산은 다 기만”이라고 밝혔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여당의 퇴진 로드맵과 관련해 “대통령에 대한 면죄부 시나리오로 최종 종착지는 보수 재집권 전략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야권이 무조건적 탄핵을 강행하기로 함에 따라 박 대통령에게 퇴진 시점 천명을 요구한 새누리당 비주류가 탄핵안 표결에 동참할지가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다. 탄핵안 의결을 위해서는 국회의원 3분의2인 최소 200석이 확보돼야 하는데 야당과 무소속 172명을 제외한 최소 28명의 새누리당 의원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비주류 측 유승민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박 대통령이 퇴진 시점을 밝혀도 여야 협상이 안 되면 탄핵 표결에 들어가느냐에 대해서는 (비주류로 구성된) 비상시국위원회 내부의 의견이 갈린다”고 말했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