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양육·주거비 부담에..." 수도권 신혼부부 아이 덜 낳는다

지방보다 출산계획 1.37배 낮아

수도권 신혼부부의 출산 의지가 지방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비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4일 고려대 건축학과 박사과정인 전세란씨와 이명훈씨의 논문 ‘신혼부부 가구 출산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 분석’을 보면 신혼부부 가운데 출산계획이 있는 비율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높았다.


국토교통부의 ‘2015 신혼부부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이 논문은 국토연구원이 주최한 주거실태조사 학술대회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분석 대상은 지난 2010년 1월1일부터 2014년 12월31일 사이 혼인신고한 신혼부부 2,207가구다. 이들의 소득은 연평균 4,810만여원이었고 대출·융자 탓에 매달 약 28만원을 지출했다.

분석 대상을 혼인기간별로 나누면 1∼2년 차는 1,367가구(50.6%), 3∼5년 차는 1,335가구(49.4%)였으며 거주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519가구(56.22%), 수도권 외 지역이 1,183가구(43.78%)였다.


임차 가구(1,907가구·70.6%)가 자가 가구(795가구·29.4%)보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1,066가구·61.7%)가 비아파트 거주 가구(1,036가구·38.3%)보다 많았다. 분석대상이 신혼부부여서 나타난 특성이다.

관련기사



논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출산 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소득 등 다른 조건이 같다면 비수도권 신혼부부가 출산계획을 할 가능성은 수도권 신혼부부보다 약 1.37배 컸다. 이 비율은 혼인 1∼2년 차만 따지면 1.39배, 3∼5년 차만 보면 1.25배였다.

연구진은 “출산이 주로 이뤄지는 20∼30대 젊은 층 비중은 수도권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의 물가가 높고 양육·보육비 부담도 크며 집값이 비싸 주거안정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논문은 이미 아이가 있는 신혼부부가 둘째를 낳는 요인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추가자녀 출산계획을 세우는 데는 소득이나 주거지역보다는 신혼부부가 현재 사는 지역의 보육·안전·자연·생활·교통환경 등 주거환경에 얼마나 만족하는지가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 아이를 낳고 키울 때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를 더 낳을지 결정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풀이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24로 신혼부부 1쌍이 아이 1명은 낳는다고 볼 수 있다”면서 “출산을 늘리려면 부부별 상황에 맞춘 정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아이가 없는 신혼부부는 경제·주거상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미 아이가 있다면 거주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해주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