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특검 김기춘 조윤선 압수수색,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 밝혀지나 '긴장감↑'

박영수(64·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팀이 김기춘(77)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50)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대한 동시 수사에 돌입했다.

두 사람은 정부에 우호적이지 않은 문화계 인사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을 주도한 혐의로 특검에 고발된 상황.


특검팀은 26일 오전 김 전 실장의 평창동 자택과 조 장관의 반포동 자택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관련 문서들을 확보 중이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조 장관의 자택을 비롯해 세종시 집무실과 문체부 문화산업정책과, 기획조정실, 감사실 등 10여곳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 관계자는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의 증거 확보를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두 피의자의 공통된 혐의와 관련된 수사가 시작됐다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보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과정을 주도했다는 혐의로 문화계 관계자들로부터 고발당한 상태. 청와대가 2014년 1만명에 가까운 문화계 인사들을 블랙리스트로 규정해 이들을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는 문서를 만들었고, 이를 주도한 것이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이라고 특검팀은 판단 중이다.

두 사람은 박근혜 대통령을 오랜 시간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했다는 공통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두 사람은 최씨의 존재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며 최씨의 국정농단 의혹과 거리를 두려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특검팀은 이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최씨 일가의 국정 농단 의혹에 대해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이와 별개로 김 전 실장은 검찰 단계에서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죄의 피의자로 입건돼 수사를 받아왔다. 2014년 10월 당시 김종(55·구속기소) 전 문체부 2차관에게 1급 공무원 6명의 사표를 받을 것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차관의 인사 청탁을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김 전 차관이 자신과 친분이 있는 문체부 간부를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 부위원장 자리에 임명해 줄 것을 청탁했다는 것.

검찰로부터 수사 기록을 넘겨받은 특검팀은 해당 의혹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황을 확인, 김 전 실장을 출국금지한 뒤 수사를 진행해 왔다.

특검팀은 수사개시 이전 제3의 장소에서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 전 장관은 김 전 실장이 공무원 경질을 주문했다고 폭로한 당사자이자, 김 전 실장으로부터 김 전 차관이 청탁한 문체부 간부의 임명 요구를 받은 인물.

특검팀은 김 전 차관을 지난 24일부터 3일 연속으로 소환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혹도 추궁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김 전 실장이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개입했다는 의혹, ‘정윤회 문건’을 보도한 세계일보를 압수수색 장소로 못 박았다는 의혹 등이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통해 제기된 상태.

특검팀은 압수물을 분석한 뒤 이르면 주중 이날 압수수색 대상이 된 문체부 관계자와 김 전 비서실장, 조 장관을 소환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