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소상공인, “죽을 맛”...올해 경영 악화 75.9%

소상공인들의 올해 경영 상황이 예상보다 훨씬 어려웠던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8일 전국 소상공인 518명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한 ‘소상공인 2016년 경영실태 및 2017년 전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5.9%가 지난해에 비해 올해 체감 경기가 악화됐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503명 대상)에서 올해 경영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한 55.2%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경영악화 이유로는 판매부진(70.5%), 소상공인 간 경쟁심화(36.2%), 국내·외 정국 혼란(33%) 등을 꼽았다.

소상공인들의 경영악화는 고용과 이들의 노후 대비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올해 직원을 채용한 소상공인은 4곳 중 1곳에 불과했고 내년 채용계획이 있는 소상공인은 22.2%에 그쳤다. 또 노후 준비가 돼 있다는 소상공인은 19.1%에 불과했고 필요성을 느끼고 준비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25.1%에 그쳐 절반 이상이 노후 준비에 여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경기 상황 전망에 대해서는 악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6.2%에 달해 호전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6.0%)을 압도했다. 소비심리 위축과 판매부진 지속(71.4%), 정국 혼란에 따른 경제불안(48.4%), 소상공인간 경쟁심화(36.7%)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관련기사



소상공인들은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전기, 수도세 등의 세부담 완화(49.2%), 자금지원 확대(40.9%)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원했다.

강지용 중기중앙회 유통서비스산업부장은 “지속되는 경기불황과 내수침체와 더불어 김영란법의 시행 여파로 인해 소상공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힘겨운 시기를 겪고 있다”며 “세부담 완화, 자금지원 확대 및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밝혔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