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포천 고양이 변사체에서 AI바이러스 H5N6형 검출

고병원성 여부는 하루 더 조사 필요할 듯

사람 감염 가능성도… 美서 이미 전염 사례 있어



경기도 포천시에서 폐사한 고양이 사체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H5N6형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31일 경기도 관계자는 “이날 오전 관계 당국으로부터 폐사한 고양이 사체에서 H5N6형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유선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관심이 쏠리는 고병원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추가 유전자 분석이 필요하다. 관계 당국은 하루 정도 더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같은 N6 형이라도 유전자 구조에서 조금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밀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5~26일 포천 가정집에서 키우던 수컷 고양이 1마리와 길고양이 새끼 1마리가 잇따라 폐사한 채로 발견됐다. 당시 간이 검사결과 AI 바이러스 유형 가운데 ’H5‘형까지는 확인돼 관계 당국은 사체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 고양이와 접촉한 사람들에 대해서도 혈액 검사를 실시했다.


이번에 전국 가금농가에 확산한 H5N6형 고병원성 AI와 같은 바이러스 유형으로 확인될 경우 이들 고양이는 야생조류에 의해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특히 폐사한 고양이가 발견된 영북면은 포천 지역에서 처음으로 AI가 발병한 곳으로 닭 170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관련기사



지난해 개에서 AI 항체가 발견된 이후 포유류에서 AI 감염 사례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국은 일단 고양이가 사람에 AI를 옮길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고양이가 AI에 감염되는 사례는 종종 있다”며 “다만 H5형 AI에 감염된 고양이가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다시 옮긴 사례는 세계적으로 한 건도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최근 미국에서 한 수의사가 고양이로부터 AI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 수의사는 가벼운 증상을 앓고 나서 회복됐지만 고양이로부터 전염됐을 가능성이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수의사가 근무한 동물보호소에서는 최근 한 달여 사이에 45마리 이상의 고양이가 H7N2 AI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미국에서는 현재 해당 수의사에 대한 정밀 검사가 진행 중이다. 사실로 확인되면 고양이에서 사람으로 AI가 감염된 첫 사례가 된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