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국민 절반, “뉴스테이 정책 안다”..인지도 상승

국토부, ‘2016년 하반기 뉴스테이정책 인식조사’ 결과

(자료=국토교통부)(자료=국토교통부)




국민 절반은 정부가 중산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내놓은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정책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토교통부는 작년 11월 수도권 및 4대 지방광역시에 거주하는 30~50세 세대주 및 세대주의 배우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하반기 뉴스테이정책 인식조사’ 결과 뉴스테이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49.8%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1년 전 조사결과(28.2%)에 비해 21.6%포인트 이상 높아진 것이다. 또 전체 응답자의 72.7%는 뉴스테이 정책이 중산층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테이 정책에 대한 호감도도 상승했다. 뉴스테이 정책에 호감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5.4%로 2015년 조사 당시 35.1%에 비해 10.3%포인트 상승했다. 거주형태별로 보면 임차(53.5%) 가구의 호감도가 자가(41.8%) 가구에 비해 높았다. 뉴스테이 정책에 호감을 가지는 이유로는 ‘양호한 입지여건(79.1%)’과 ‘8년 장기 거주(78.2%)’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다.

관련기사



전체 응답자 중 25.4%는 뉴스테이 정책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월세 거주를 선호하지 않고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많았다.

전체 응답자 중 31.0%는 뉴스테이 입주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희망 임대료는 보증금 1억 5,000만원 이상(32.2%), 월 임대료 30만~50만원(48.8%)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거시설로는 피트니스센터와 헬스장(821.%)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24시간 보안 서비스(71.2%), 공부방, 문고 대여 등 북카페(59.2%), 파출부, 청소, 소독 등 지원 서비스(56.2%) 순으로 높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산층에게 꼭 필요한 기업형 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려가도록 정책 방향을 설정하겠다“라고 말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