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소규모 정비' 사업성 분석 돕는다

시작 단계서 분담금 등 자료 제공

부산시가 정비계획 수립 없이 사업이 가능한 ‘소규모 정비사업’에 대해 사업성 분석 자료를 제공한다.

사업성 분석 프로그램으로 개인별 추정분담금을 정비사업 초기에 예측해 분담금으로 인한 주민 갈등을 해소하고 주민들의 신속한 사업 추진 의사결정을 지원한다는 취지다.


부산시는 소규모 정비사업의 시작 단계에서 주민이 사업비 부담 수준을 알고 추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정비사업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소규모 정비사업은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에서 종전의 가로를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가로주택정비사업과 기존 가구 수 및 재건축 후의 예정 가구 수가 300가구 미만이고 부지면적이 1만㎡ 미만인 소규모 재건축사업이 해당한다.


이번 사업은 공공건축가와 자치구가 협업해 주민 의견 수렴 등 개략적 사업성 분석을 위한 건축 기본계획을 세우고 종전자산과 분양가에 대한 감정평가 후 부산시에서 구축한 추정분담금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관련기사



이는 소규모 정비사업이 기존의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달리 사업 규모가 작고 추진 사례가 없어 주민들의 인지도가 낮은 점을 고려한 것이다.

부산시는 오는 3월 말까지 수요조사 등 사업공모를 벌여 최종 대상지 5곳을 선정할 방침이다.

사업비는 부산시에서 구역당 2,000만원 이내로 부담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공공의 행정 지원에 따른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보 제공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질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