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윤리위 이한구·현기환 등 제명...朴 대통령·친박 핵심은 비켜가

친박 핵심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징계 20일 논의

朴 대통령 징계 심사는 계속 유보

바른정당 지지 김현아, 3년 당원권 정지

새누리당의 정주택(가운데) 윤리위원장과 윤리위원들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의 정주택(가운데) 윤리위원장과 윤리위원들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중앙윤리위원회가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과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 박희태 전 국회의장, 이병석 전 국회부의장을 18일 제명했다. 친박(근혜)계 핵심인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의원에 대한 징계는 오는 20일 논의하기로 했다.

새누리당 윤리위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두 번째 전체회의를 갖고 이 같은 징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은 전날 탈당해 징계 대상에서 제외됐다.


류여해 윤리위원은 ‘1호 제명’이 된 이한구 전 위원장에 대해 “공천 과정에서 각종 논란을 일으켜 국민의 지탄을 받게 한 책임, 이로 인해 총선 참패를 야기하는 등 민심을 이탈하게 한 책임”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현기환 전 수석은 부산 엘시티 관련 뇌물수수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 기소돼 수사를 받고 있다.

박희태 전 의장과 이병석 전 부의장은 각각 강제추행 혐의와 포스코 관련 제3자 뇌물수수 혐의를 받고 있다.

새누리당 당적을 갖고 있지만 바른정당을 지지하는 김현아 의원은 3년간 당원권 정지 처분을 받았다. 당원권이 정지되면 당 행사에 참여하거나 당직을 맡는 것이 금지된다. 류 위원은 “공개적으로 타당 활동을 지속하는 등 명백한 해당 행위에 대한 책임과 비례대표 의원직 사수를 위해 자진탈당하지 않고 적반하장식의 제명을 스스로 요구하는 등 비윤리적인 행위를 지속하는 책임을 물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관심이 집중됐던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의원에 대한 징계는 심의기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해 20일 오전 회의로 결정을 미뤘다. 윤리위는 당사자들에게 출석을 요구한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징계도 이날 논의되지 않았다. 류 위원은 “유보된 상황에 대해선 논의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