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우주광물 민간탐사, 한국과 논의하고파" 그로츠 룩셈부르크 경제부 차관 방한…사업참여 제안

"2020년대 초 세계 첫 탐사

국제사회와 재산권 등 협의

韓, 첨단기술분야 큰 경험

연구개발 파트너 되어주길"

마리오 그로츠 룩셈부르크 차관마리오 그로츠 룩셈부르크 차관


“한국은 첨단기술분야에서 엄청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우주자원개발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개발사업을 기꺼이 논의하고 싶습니다.”(마리오 그로츠 룩셈부르크 경제부 차관)

우주광물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입법을 추진중인 룩셈부르크 정부 대표단이 우리 정부와 연구기관 등을 찾아 사업 참여를 제안했다.

지난 17일 1박 2일 일정으로 방한했던 그로츠 차관은 서울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의사를 피력했다. 그는 “2020년초에는 우주자원 탐사를 위한 최초의 민간탐사임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우리 정부는 향후 5년간의 구체적 실행계획과 전략을 수립했다”고 소개했다.


룩셈부르크는 지구근접 소행성 등으로 우주선을 띄워 각종 광물, 물 등의 자원을 채굴해 오는 사업을 구상해 지난해 2월 공표했다. 현재 세계적 통신위성서비스 업체인 룩셈부르크의 SES와 미국 우주항공업체 딥스페이스인더스트리, 플래네터리리소시스 등이 이 구상에 참여하고 있다. 그로츠 차관은 현재 일부 국가들과 이번 사업에 대해 협약을 맺은 상태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파트너십 체결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룩셈부르크는 우주자원활용을 위한 상업활동의 유럽 중심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서 “우주자원활동은 매우 많은 비용이 들고 장기적인 사업이지만 인류가 입을 수 있는 장기적인 혜택이 어마어마하므로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투자비용 회수가 긴 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그는 우주광물 채굴을 위해 개발하는 기술들을 지구상의 채굴 및 우주산업에 활용용해 단기간 및 중기간에 수익을 회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사업을 점진적으로 추진해 투자부담을 분산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로츠 차관은 “아직 사업초기 단계여서 자금이 얼마나 필요할지 추산하기는 어렵지만 우주자원활용은 우주와 지구에서 새로운 경제기회를 창출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룩셈부르크 정부가 고민하는 것은 기술이나 재원보다는 오히려 국제법 체계 마련이다. 그로츠 차관은 현재 우주 광물을 채굴하는 것은 위법은 아니지만 이런 행위에 대해 국제법이나 조약들이 구체적인 규범을 정하지 않아 법률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특히 우주자원의 재산권과 그에 상응하는 (우주개발) 임무의 승인 및 감독요건에 관한 것이 더 법률, 규범적으로 명확히돼야 한다”며 이 문제를 국제사회와 점진적으로 의논하겠다고 밝혔다.

그로츠 차관은 자국이 차세대 산업중 굳이 우주광물개발에 관심을 갖는 이유에 대해 “룩셈부르크는 1850년대로 거슬러 오르는 오랜 채굴경험과 관련 산업기반을 갖고 있고, 1980년대부터는 SES를 창설해 우주활동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자국의 인프라와 산업기반이 우주자원 관련 산업에 강점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다만 우주산업은 국제 규범과 많은 투자가 필요한 만큼 사업에 동참할 국제파트너를 물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그로츠 차관이 방문한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의 김인선 부원장은 “현재 인류 기술로서는 소행성에 가서 1~2g의 광물을 채집해 가져오는 것도 쉽지 않아 우주광물 개발은 장기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과거 쓸데 없는 땅이던 그린란드가 오늘날 엄청난 부를 안겨주는 땅이 됐듯 우주광물 개발사업도 그런 잠재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