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반기문 "국민 좌절·분노, 대통령 등 지도층이 모두 책임져야"

[조선대 강연]

청년문제 담당 특별부서 신설 검토

정치가 잘 돼야 기업들 창의력 발동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8일 오전 광주 동구 산수동 조선대 해오름관에서 ‘청년과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18일 오전 광주 동구 산수동 조선대 해오름관에서 ‘청년과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18일 “광장의 민심으로 대변되는 국민들의 좌절과 분노가 왜 나왔느냐. 대통령을 포함해 지도층 인사들이 모두 다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오전 광주 조선대에서 ‘청년과 대한민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을 열고 “국가를 경영하는 위치에 있는 분들은 포용적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꼬집었다.

반 전 총장은 특히 평소의 관심사항 중 하나인 청년 문제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 현상을 설명하고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학생들이 ‘공부해봤자 무슨 소용이냐’며 자포자기하는 현상이 있다”고 전제한 뒤 “필요하면 청년 문제를 담당하는 특정한 부서를 만들든지 아주 특정한 고위직을 두거나 하는 방법이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기업과 협의를 해서 인턴제를 확대하거나 산학협동을 확대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 전 총장은 이어 “이런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계속 포기하는 세대가 나올 것”이라며 “저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정부와 정치 지도자들이 여기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 전 총장은 “우리나라의 재벌 상속률은 70%나 되고 창업 성공자는 20%가 안 된다. 평생 봉급만 받다가 (대권 도전을 위해) 조그만 사무실을 차리고 최고경영자(CEO)가 됐으니 어떤 면에선 저도 창업을 한 셈”이라며 “개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건 정치로 귀결된다. 정치가 잘되면 기업들이 마음 놓고 창의력을 발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 전 총장은 정치 현안에 대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답변을 주저하면서도 개헌의 가능성은 열어놓았다. 그는 “누구도 대통령이 되고 누구도 장관이 됐지만 틀이 ‘정해진 틀’”이라고 지적한 뒤 “그러니 정경유착과 부정부패가 발생한다. 여러 가지 선거제도 등 모든 것을 이제는 확 바꿔보자”고 말했다.

/광주=나윤석기자 nagija@sedaily.com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