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재도약 나선 수입차] 렉서스 ES300h

친환경에 품격까지...복합연비ℓ당 16.4km





렉서스가 자랑하는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중형 세단 ES300h 모습. 친환경성은 물론 운전의 즐거움까지 더해 지난해 6,112대가 판매되며 수입 하이브리드 판매 1위, 전체 수입차 모델별 판매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렉서스의 연 판매량이 역대 최초로 1만대를 돌파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사진제공=한국토요타렉서스가 자랑하는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중형 세단 ES300h 모습. 친환경성은 물론 운전의 즐거움까지 더해 지난해 6,112대가 판매되며 수입 하이브리드 판매 1위, 전체 수입차 모델별 판매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렉서스의 연 판매량이 역대 최초로 1만대를 돌파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사진제공=한국토요타


지난해 일본 도요타의 프리미엄 브랜드 렉서스는 국내에서 역대 최고 판매 기록을 세웠다. 판매량은 총 1만594대로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지난 2001년 국내에 렉서스가 출시된 후 최고 실적이었다. 렉서스 판매 돌풍은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의 인기 덕이었다. 지난해 렉서스 전체 판매의 89%(9,425대)가 하이브리드였다. 하이브리드 판매 대수는 1년 전과 비교하면 45%가량 성장했다. 2015년 성장률(25%)의 배에 육박한다.

렉서스가 하이브리드에 주력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2006년 ‘RX400h’로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의 시대를 연 이후 디젤 유행에 개의치 않고 하이브리드 차종을 꾸준히 투입해왔다. 렉서스는 국내 자동차 브랜드 중 가장 많은 6종의 하이브리드 차량을 판매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판매는 최근 6년 동안 평균 54%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렉서스가 자랑하는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중형 세단 ES300h 모습. 친환경성은 물론 운전의 즐거움까지 더해 지난해 6,112대가 판매되며 수입 하이브리드 판매 1위, 전체 수입차 모델별 판매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렉서스의 연 판매량이 역대 최초로 1만대를 돌파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사진제공=한국토요타렉서스가 자랑하는 프리미엄 하이브리드 중형 세단 ES300h 모습. 친환경성은 물론 운전의 즐거움까지 더해 지난해 6,112대가 판매되며 수입 하이브리드 판매 1위, 전체 수입차 모델별 판매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렉서스의 연 판매량이 역대 최초로 1만대를 돌파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사진제공=한국토요타


렉서스 차량 중에서도 지난해는 유독 준대형 세단 ‘ES300h’가 큰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판매량은 6,112대로 2012년 국내 출시 후 처음으로 6,000대 판매를 돌파했다. 렉서스의 전체 하이브리드 판매량 중 절반 이상(64.8%)이 ES300h였다. 12월에는 총 855대가 판매돼 국내 출시 이후 가장 많은 월 판매량을 기록했다. 지난해 차종별 판매 순위 3위에 이름을 올리는 등 독일 디젤 세단의 틈바구니에서 유일하게 하이브리드 모델로 이름을 올렸다.


ES300h의 인기 이유는 뛰어난 상품성이다.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인 BMW의 5시리즈나 메르세데스 벤츠의 E클래스와 비교해 브랜드 이미지, 품격, 주행성능, 실내공간, 디자인 등 어느 하나 빠지지 않는다. 특히 2.5ℓ 4기통 앳킨슨 사이클 엔진과 렉서스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결합해 복합연비 최고 ℓ당 16.4㎞, 고속도로 연비 16.7㎞를 구현해낸 점도 매력적이다. 하지만 가격은 5,000만원대에서 시작한다. 중형~준대형 수입 세단을 찾는 고객이라면 구입 리스트에서 ES300h를 제외하기는 쉽지 않다.

관련기사



렉서스는 올해도 하이브리드의 기술적 특성을 알리고 다양한 하이브리드 마케팅을 펼치는 등 적극적으로 친환경차 판매 확대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그 선봉에는 ES300h가 선다. 또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NX300h’와 지난해 완전변경 출시된 중형 SUV RX450h도 하이브리드 시장 확대에 힘을 보탠다.



렉서스뿐만 아니라 도요타도 올해 국내에서 친환경차 판매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하이브리드차는 지난해 한국토요타 전체 판매의 62%를 차지한 바 있다. 2015년 하이브리드 점유율은 32%였다. 가장 인기를 끄는 차종은 ‘캠리 하이브리드’다. 지난해는 2,431대가 판매돼 전년 대비 223% 수직 상승했다. 지난해 2월부터는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이 가솔린 모델보다 더 많이 팔리고 있다. 하이브리드 시장의 저변이 그만큼 확대된 것이다. 한국토요타 관계자는 “‘라브4 하이브리드’와 ‘프리우스’ 역시 지난해 좋은 성과를 냈다”며 “렉서스와 도요타 모두 올해도 판매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