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선업 불황의 깊은 그늘…체불임금·체당금 '눈덩이'

‘조선 불황’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 경남 거제·통영·고성지역 조선소 근로자들의 지난해 체불임금액이 전년에 비해 무려 2.6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들이 사업장 파산 등으로 일자리를 잃게 될 경우 정부가 먼저 체불임금을 지급하고 나중에 해당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구상권을 청구해 변제받는 체당금 규모는 3배로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고용노동부 통영지청과 조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 지역에서 임금을 제 때 받지 못했다고 신고한 근로자는 모두 1만3,114명에 달했다. 이는 2015년에 비해 2.4배에 달하는 것이다. 이 기간 체불임금액은 모두 581억원으로 2015년에 비해 2.6배에 이르렀다. 1인당 체불임금액은 443만원이었다. 이들 체불임금 신고 근로자 대부분은 조선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업 불황으로 문을 닫은 식당 등 서비스업 근로자도 일부 포함됐다.


체불임금 신고 급증에 따라 체당금 규모와 체당금을 받는 근로자 수도 급증했다. 지난해 지급된 체당금은 모두 251억원으로 2015년 83억원의 3배에 달했다. 체당금을 받은 근로자는 5,477명으로 전년보다 2.8배로 늘었다.

관련기사



조선업계는 체불임금액 및 체당금 규모가 올들어서도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조선소들이 불황에 따른 수주난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 삼성중공업이 이달초 1년 6개월만에 12억7,000만달러(약 1조5,000억원) 규모의 해양플랜트를 수주해 조선업계의 기대감을 높였다.

대우조선도 여러 건의 수주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이르면 다음달이면 윤곽이 잡힐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수주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수주가 이뤄진다고 해도 조선업의 본격적인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체불임금 및 체당금 증가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거제=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