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검, 우병우 내주 소환 가능성...문체부 인사개입 등 전방위 수사

전담팀 꾸려 본격 수사 돌입

"좌천 압력 등 직권남용 여지"

국정농단 묵인·비리도 조사

박영수 특별검사가 특검팀 안에 전담팀을 꾸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본격 수사에 돌입했다. 우 전 수석의 소환도 임박했다는 관측이다.

31일 특검에 따르면 박영수 특검팀은 최근 특별수사관 10여명으로 ‘우병우 전담팀’을 꾸려 관련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우 전 수석이 최순실씨 국정농단 사태를 알면서도 이를 방기했거나 묵인했다는 핵심 의혹뿐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 인사 개입, 검찰 수사 외압, 개인 비리 등 제기된 다방면의 의혹도 모두 살펴볼 방침이다.

특검팀은 이날도 우 전 수석의 문체부 국·과장 좌천 압력 의혹과 관련해 문체부 직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김종 전 문체부 차관의 측근 인사들로 교체하기 위해 민정수석실이 인사에 개입해 실·국장 6명을 산하기관의 한직으로 발령냈다는 의혹에 대해서다. 특검팀은 김종덕 전 장관과 김종 전 차관 등을 조사하면서 우 전 수석의 ‘인사 압력’ 관련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 대변인인 이규철 특검보는 “정상적 절차를 통하지 않고 인사에 관여한 부분이 있다면 직권남용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우 전 수석의 가족회사인 정강의 자금 흐름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우 전 수석과 정강 관련 계좌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정강에 수십억원대의 수상한 자금이 유입됐다가 다시 빠져나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이 밖에 특검법에 적시된 혐의 가운데 하나인 ‘국정농단 방기 의혹’도 핵심 수사 대상이다. 우 전 수석이 민정비서관 시절 ‘세월호 수사’에 개입해 해경의 압수수색을 막았다는 의혹 등 검찰 수사 개입 정황도 전반을 살펴보고 있다. 또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의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감찰을 방해한 의혹도 있다. 현재 특검이 살펴보고 있는 우 전 수석 관련 의혹만도 1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이르면 다음주 우 전 수석을 직접 소환해 조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특검팀 관계자는 “우 전 수석의 소환 조사는 해야 하지만 언제 할지는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