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부모 부양은 장남 책임? 이젠 옛말…

자주 접촉하는 자녀도 장남 아닌 장녀

보사연·서울대 공동연구

노부모 부양은 장남이 해야 한다는 인식이 서서히 달라지고 있다. 장·노년층과 가장 많이 만나고 연락하는 자녀는 장남이 아닌 장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지난 해 성인 1,0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2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노부모 부양의 책임이 장남에게 있다는 응답은 22.5%로 10년 전(28.8%)에 비해 6.3%포인트 줄어들었다. 반면 같은 기간 ‘아들, 딸 상관없이 누구든지’라는 답변과 ‘모든 자녀’라는 응답은 각각 30.6%에서 38.5%로, 25.6%에서 30.4%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가장 자주 접촉(방문, 전화, 편지, 인터넷 등을 통한 교류)하는 성인 자녀가 누구냐’라는 질문에는 장녀라는 답변이 3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장남(33.8%), 차남 이하 아들(14.4%), 차녀 이하 딸(12.9%), 큰 며느리(0.9%) 순이었다. 2006년에는 장남(38.0%), 장녀(30.6%), 차남 이하 아들(17.0%), 차녀 이하 딸(12.7%) 순이었다. 10년 사이 장남과 장녀의 순위가 바뀐 것이다.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노부모 부양은 자녀 모두의 부담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딸과 모계·친정 부모와의 교류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부계 중심성이 서서히 쇠퇴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