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코스닥 시총 상위 30개사, 주요국 지수보다 시총 감소 폭 컸다

작년 12% 감소… 8.1% 증가한 코스피와 대조

코스닥은 시총 상위종목 교체 폭도 커… 3개 중 1개 꼴 변경

코스닥지수 내 시가총액이 높은 30개사의 시총 변동을 주요국 주가지수와 비교한 결과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코스피지수 시총 상위 종목들은 미국을 제외하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거래소는 6일 코스피·코스닥지수와 미국 NYSE종합·나스닥지수, 일본 니케이225지수,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영국 FTSE100 지수, 홍콩 항셍지수의 상위 30개 종목을 비교한 결과 코스닥지수의 시총 증감률이 가장 낮았다고 밝혔다. 코스닥지수 상위 30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2015년 말 480억7,400만달러에서 작년 말 423억2,300만달러로 12% 줄었다. 같은 기간 나스닥(4.8%), FTSE100(1.4%), 닛케이225(-2.4%) 등과 비교하면 시총이 큰 폭으로 줄었다. 이 기간 코스닥지수가 7.5% 내린 것을 감안하면 시총의 감소 폭이 주가 하락 폭을 웃돌았다.


반면 코스피지수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기준 6,212억300만달러로 전년대비 8.1% 늘었다. NYSE종합지수(9.8%)를 제외하면 증가율이 가장 높다.

관련기사



또한 코스닥지수는 작년 시총 상위종목의 변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에서는 지난해 10개 종목이 시총 상위 30걸에 진입했다. 2015년에 시총 상위 30개에 포함된 종목 3개 중 1개 꼴로 교체된 셈이다. 코스피지수를 포함해 다른 주요국 지수의 시총 상위종목 교체 폭이 3~4개 수준에 그치며 고착화하는 경향을 보인 것과는 상반된다. 코스닥지수에서 상위종목에 새로 들어온 종목들은 시총 증가율도 45.4%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잔류한 종목 20개의 경우, 시가총액이 지난해 11.1%나 줄었다.

한편 국내증시에서 시총 상위 30개사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한 업체는 코스피에서는 현대중공업(009540)(61.3%), 코스닥에서는 AP시스템(054620)(144.5%)였다. 전 세계적으로는 나스닥의 차터커뮤니케이션(336.5%), FTSE100의 글렌코어(156.8%) 순으로 가장 높았다. 주요국 시총 1위 업체 가운데 그 증가율이 가장 큰 업체는 영국의 로얄더치셸 B주로 지난해에만 59.4% 증가했다. 이어 코스피의 삼성전자(005930)(33%), 코스닥의 셀트리온(068270)(30.8%), 홍콩의 텐센트(25.3%) 순이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