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한국경제, 해외의 경고] 딜로이트 "韓 젊은이들 부모세대보다 더 불행"

'2017 밀레니얼 서베이 발표'

"올 경제전망 어두워...낙관지수 27개국 중 20위"





한국의 젊은 세대가 올해 국내 경제전망이 어둡다며 부모 세대보다 더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제 낙관지수 역시 하위권으로 인도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지난 1일 딜로이트 글로벌에서 발표한 ‘2017 딜로이트 밀레니얼 서베이’ 보고서에서 이같이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한국의 밀레니얼 경제 낙관지수는 -1%로 27개국 중 20위에 머물렀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매년 전 세계 30개국, 8,000명에 해당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밀레니얼 서베이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여섯 번째로 진행된 밀레니얼 서베이는 1982년 이후 출생자로 대학 학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정규직들이 참여했다. 이번 경제 낙관지수는 27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경제의 낙관 정도를 보여주는 27개 국가의 경제적 낙관지수 평균은 11%였다. 아르헨티나가 51%로 가장 높았고 페루(47%), 브라질(43%), 필리핀(35%) 등 신흥시장으로 분류된 국가의 낙관지수가 상위권에 포진했다. 반면 영국(-40%), 스페인(-23%), 스위스·네덜란드(-14%), 일본(-5%) 등 성숙시장으로 분류된 국가는 하위권에 속했다. 한국 역시 성숙시장국가로 분류됐으며 14곳 중 중위권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신흥시장의 경우 밀레니얼의 57%가 자신들의 세대가 부모 세대보다 경제적으로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성숙시장의 경우 34%만이 경제적으로 나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시장 밀레니얼이 자신의 부모보다 물질적으로 더 나은 삶을 기대하는 낙관론을 펼친 반면 한국·호주·캐나다 등 성숙시장의 밀레니얼은 그들이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부모 세대보다 더 불행하다고 답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불안감이 높아져 현 직장 잔류 의사가 이전보다 높아졌다. 응답자 중 31%는 “5년 이상 현 직장에 잔류할 것”이라고 답했고 38%는 “2년 안에 현 직장을 떠난다”고 응답했다. 각각 지난해보다 4% 증가, 6% 감소한 결과다.

푸닛 렌젠 딜로이트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는 “밀레니얼의 시각이 비관적으로 변한 것은 개인적인 고민거리가 달라졌기 때문”이라며 “4년 전에는 기상변화·자원부족이 밀레니얼의 가장 큰 걱정거리였지만 올해는 범죄, 부패, 전쟁, 정치적 긴장감들이 밀레니얼의 마음을 짓눌러 개인적·직업적인 인생관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