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하기관 근태불량"...엎친데 덮친 문체부

"출입증 대신 찍게해 출근 위장"

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 감사

장관 구속·국정농단 맞물려

"공직 기강 해이" 비난 커질듯

정부세종청사 문화체육관광부 주변이 안개에 휩싸여 있다./연합뉴스정부세종청사 문화체육관광부 주변이 안개에 휩싸여 있다./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산하 공공기관 직원의 근무태도가 불량하다는 민원이 제기돼 감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문체부가 현직 장관 구속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로 송수근 1차관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산하 기관 직원의 근태 문제까지 불거지면서 문체부의 공직 기강이 해이해졌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6일 서울경제신문 취재 결과 최근 문체부 감사실로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의 전시 공간으로 쓰이는 문화역서울 284(구 서울역사)에서 근무하는 직원 A씨의 근태 불량을 조사해 달라는 민원이 접수됐다.


접수된 민원에는 A씨가 실제 출근을 하지 않았음에도 다른 직원을 통해 자신의 출입증을 대신 찍는 방식으로 출근을 한 것처럼 꾸몄다는 내용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실은 민원 내용을 살펴본 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을 관리·감독하는 문화예술정책실로 관련 내용을 이첩했다. 문화예술정책실은 민원 내용의 사실 여부 등을 확인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 관계자는 “예술정책실에서 제기된 의혹들을 조사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편 최순실 국정농단의 주 무대였던 문체부에 대한 감사원 감사는 이르면 이번 달 마무리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기감사 형식이지만 사실상 특별감사나 다름 없다. 감사원은 지난 달 9일부터 30여명의 인력을 투입해 문체부에 대한 기관운영감사에 착수했다. 특히 감사원은 문체부가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미르·K스포츠재단의 설립 승인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있다. 최순실씨가 53개 대기업을 압박해 세운 것으로 알려진 미르·K스포츠재단은 신청 하루 만에 문체부로부터 설립허가를 받아냈다. 감사원은 국회를 중심으로 설립 승인에 대한 의혹 제기가 지속되는 만큼, 이번 감사에서 다시 한 번 두 재단에 대한 의혹의 사실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다.

아울러 형사 처벌과 상관없이 문화계 인사에 대한 검열과 지원 배제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블랙리스트 작성에 문체부가 관여한 배경과 경위 등에 대해서도 집중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문체부가 자체 감사를 진행했던 사안에 대해서도 감사원 차원의 감사가 진행중이다. 문화창조융합벨트, 2014 한·아세안 특별정상화의 오·만찬 및 문화행사, 밀라노엑스포 한국관 조성, 대통령 순방 계기 문화행사, 늘품체조, GKL 장애인 스포츠단 창단, 승마포럼, K스포츠클럽 육성 등이 그 대상이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