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정남, 과거 母 성혜림 묘 수차례 방문…이젠 쓸쓸히 방치된 묘지 ‘비극적인 운명의 모자’

김정남, 과거 母 성혜림 묘 수차례 방문…이젠 쓸쓸히 방치된 묘지 ‘비극적인 운명의 모자’김정남, 과거 母 성혜림 묘 수차례 방문…이젠 쓸쓸히 방치된 묘지 ‘비극적인 운명의 모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46)이 생전에 러시아 모스크바 외곽 공동묘지에 있는 생모 성혜림의 묘를 여러 차례 방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조용히 묘지를 다녀갔던 김정남은 한번은 관리실에 들러 묘지를 청소하는 인부들에게 달러를 쥐여주며 자기 어머니 성씨의 묘를 잘 보살펴 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고 한 관리원이 밝혔다.

김정남의 생모인 성혜림은 65세의 나이로 2002년 숨졌으며 그 무덤은 지금도 모스크바 서쪽 외곽에 있는 ‘트로예쿠롭스코예’ 국립 공동묘지에 있다.

모스크바 시내에 있는 이 묘지는 노보데비치 국립묘지의 분지(分地) 격으로 옛 소련과 러시아의 고위 정치인, 고급 장성, 유명 작가와 배우 등이 묻혀있으며 원칙적으로 외국인이 묻힐 수 없는 곳이다.

그러나 성씨가 사망한 뒤 북한 당국이 “시신을 본국으로 송환할 수 없으니 북한의 국모(國母) 수준으로 안치해 달라”고 러시아 측에 요청해 이곳에 묘를 쓴 것으로 전해졌다.


앞에 세워진 검은색 대리석 묘비에는 한글로 ‘성혜림의 묘’라는 비명과 생존 시기(1937.1.24-2002.5.18)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묘주 김정남’이라는 글씨가 쓰여있다.

관련기사



과거 현지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정남은 모친이 사망한 지 3년 뒤인 2005년 묘지를 찾아와 직접 묘비를 세웠다고 밝혔다.

김정남이 마지막으로 성씨의 묘를 찾은 것은 2009년 10월로 알려졌으며 이후로는 이복동생인 김정은의 권력 승계가 굳어져 가면서 신변의 위협을 느껴 모스크바를 방문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소식통은 전했다.

한편, 6.25 전쟁 때 월북해 유명 영화배우가 된 성혜림은 김정일의 눈에 들어 남편과 이혼하고 1971년 김정남을 출산했다.

하지만 김정일이 김일성의 뜻에 따라 김영숙과 결혼하면서 모스크바로 쫓겨났고 심장병 등으로 우울한 말년을 보내다 결국 2002년 숨진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아들 김정남마저 말레이시아에서 피살되면서 성혜림 김정남 모자는 모두 이국땅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맞았다.

[사진=KBS1 방송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