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명시, 40년 폐광 광명동굴 토양 오염 정화

광물체험놀이터 부지 굴착 후 세척해 매립

광명시가 광명동굴 개발로 40년간 방치된 폐광의 토양 오염을 정화함으로써 환경을 살리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광명시(시장 양기대)는 광명동굴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동굴테마파크로 조성하기 위한 토양 오염 정화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관광객들은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 속에서 광명동굴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시는 2015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토양 오염 정화사업의 1단계로 선광장 일원 2,441㎡에 대한 토양 오염 정화작업을 시행해 선광장 구조물 안의 광물 찌꺼기를 제거한 뒤 선광장 부지와 비탈면은 토양 안정화 처리 후 매립했다. 이어 2단계 사업으로 광물 체험 놀이터 일원 2,700㎡의 오염 토양을 파내서 야적장에 적치하는 공사를 3월 말까지 진행한다. 야적장에 쌓인 이 오염토를 세척해 매립하면 토양 오염 정화사업은 모두 마무리된다.

관련기사



광명시는 광명동굴의 본격적인 관광테마파크 조성을 앞둔 지난 2012년 4월 16일 한국광해관리공단과 ‘가학광산 동굴 복구 및 테마파크 조성과 관련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광명동굴의 친환경 개발과 한국형 광해방지모델 조성을 위한 토양 오염 정화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양 시장은 “광명동굴 개발은 폐광을 세계적인 관광지로 만들었다는 것뿐 아니라 40년 동안 방치됐던 토양 오염을 정화해 환경을 살렸다는 데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