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진료정보교류사업으로 의료환경 더 좋아지게 힘보탤 것”

이정호 티플러스 대표

환자기록 통합 '크로스 바인'

전국 대형병원에 보급 앞장

이정호 티플러스 대표이정호 티플러스 대표




“지난 2015년 세계적으로 발생했던 증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 우리나라에서 더욱 맹위를 떨쳤던 이유 중 하나는 병원 간에 환자의 의료 정보가 공유되고 있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환자 추적도 잘 안 됐을 뿐 아니라 환자가 병원을 옮길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진료·진단을 받다 보니 병이 퍼질 시간을 벌어줬죠.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병원 간 정보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진료정보교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진료정보교류 중계 시스템 ‘크로스 바인(Cross Vine)’을 개발, 보건복지부와 진료정보 공유 시범사업을 함께 진행했던 이정호(사진) 티플러스 대표의 설명이다. 이 대표는 시스템 통합·진단(SI) 업무를 하며 경력을 쌓아오다 헬스케어 분야에 매력을 느껴 2010년 티플러스를 창업했다. 2012년께부터 의료환경을 개선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에도 착수했다. 환자 진료기록을 통합 정리하고 이 기록들을 병원들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솔루션 ‘크로스 바인’을 본격 개발하기 시작한 것이다.


“당시에는 개인정보 보호 등의 문제로 병원 간 의료기록 공유가 금지돼 있었습니다. 언젠가는 의료기록이 공유되는 때가 오리라 생각해 미리미리 준비했던 것이 정부 시범사업에 먼저 동참하는 기회가 됐네요.”

관련기사



현재 복지부는 대구·부산 지역 병원을 중심으로 진행됐던 시범사업을 끝낸 후 진료공유 시스템의 본격적인 확산 작업에 나서고 있다. 정부의 움직임에 발맞춰 티플러스도 채비를 갖추고 있다. 기술력에서 우위에 설 자신은 있다. 이 대표는 “하드웨어 기술력까지 갖추고 있어 동네 의원부터 3차 대학병원에 이르기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티플러스의 경쟁력은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이란 내 국영기업 바라카트와 조인트벤처를 설립했으며 올해 탄자니아 8개 병원에 의료영상 전송과 원격판독을 결합한 솔루션을 수출한다. 케냐·나미비아 정부와도 사업협력을 논의 중이다. 휴렛팩커드(HP) 등 글로벌 기업과 서버 OEM 계약을 맺는 등 SI 사업 분야에서도 꾸준히 인정받고 있다.

이 대표는 내년께 주식시장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그는 “국내외 정부, 대형 병원들에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가치를 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