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허혈성 심장질환] 심장근육에 피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

[허혈성 심장질환] 심장근육에 피 공급하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이 혈액을 공급받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생기며 관상동맥질환이라고도 한다. 심장 등 우리 몸의 각 장기는 혈액을 통해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는다. 심장근육이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면 협심증,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심장돌연사)로 나타난다.

관련기사



허혈성 심장질환은 증상이 나타나기 전 혈관에 혹 같은 죽종(粥腫)이 형성돼 말초로의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키는 죽상경화(粥狀硬化)가 진행된 경우가 많다. 죽종은 고지혈증·흡연·고혈압·당뇨·비만이나 가족력 등으로 인해 혈관, 특히 동맥의 가장 안쪽 막(내피)에 콜레스테롤·지방산 같은 지질과 다양한 결합조직이 쌓여 둥지 모양으로 커진 것을 말한다. 죽종 내부는 죽처럼 묽고 섬유성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막이 파열되면 혈관 안에 혈전(피떡)이 생긴다. 죽종 내부에 출혈이 일어나 관상동맥 내부의 지름이 급격하게 좁아지거나 혈전이 생겨 막혀버리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돼 심근경색증을 유발한다.

이와 달리 동맥경화증은 주로 혈관의 중간층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섬유화가 진행되고 혈관의 탄성이 줄어드는 노화현상의 일종이다. 이 때문에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짜낼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인 수축기 혈압이 정상보다 높아져(수축기 고혈압) 심장근육이 두꺼워지는 심장비대 현상이 나타난다. 죽상경화증과 동맥경화증을 합쳐 죽상동맥경화라고 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