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남 검찰총장은 3일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게 “특수본을 재정비해 특검 인계 사건을 차질없이 수사하라”고 지시했다. 검찰은 이날 특검에서 수사기록·자료 일체를 인계받는 등 수사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검찰은 오는 6일까지 수사 인원과 분야별 사건 배당을 결정하는 등 수사팀 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특수부·첨단범죄수사부·형사부 등 2~3개 부서가 주축이 되는 제2기 특수본이 출범하게 됐다. 다만 특검 수사로 사건이 줄어든 만큼 1기 특수본보다 상대적으로 규모는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앞으로 특수본이 수사를 시작하면서 우선 겨냥할 수 있는 수사 대상은 우 전 수석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다. 특검이 뇌물 혐의 피의자로 입건해 넘긴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나 롯데·SK·CJ 등 대기업 뇌물 의혹 수사 등과 달리 수사에 영향을 줄 변수가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검찰은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직권남용, 개인 비리 의혹 등을 겨냥해 두 차례나 전담 수사팀을 꾸려 집중 수사했지만 혐의 입증에 실패한 전력이 있다. 게다가 김 총장을 비롯해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 등이 우 전 수석과 수시로 연락한 정황이 특검 수사에서 포착됐다. 통화 당시가 우 전 수석이 아들 보직 특혜, 가족회사 ‘정강’ 자금유용 등 의혹으로 수사선상에 오른 때라 검찰에 대해 ‘제 식구 감싸기다’ ‘봐주기 수사다’라는 비판이 나온다.
최근 검찰이 곧바로 수사에 착수하는 쪽으로 방침을 세웠다고 알려진 것도 앞선 수사 실패와 윗선과의 통화 등 구설을 염두에 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하루라도 수사를 머뭇거린다는 인상을 줄 경우 받게 될 불필요한 오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는 검찰에 있어 기회이자 위기일 수 있다”며 “세 번째 우 전 수석 수사마저 실패하면 검찰은 전체 조직 자체가 흔들릴 수 있으나 반대로 구속 등 결실을 본다면 신뢰성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