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기 특수본 초읽기…이번엔 우꾸라지 잡힐까

6일 출범, 禹 수사 새 시험대

특검 자료 인계, 준비 본격 착수

수사 실패·윗선 통화 등 구설에

"신뢰 회복하자" 禹에 총력전

제2기 검찰 특별수사본부 출범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한 가운데 법조계 관심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수사로 쏠리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우병우 특별수사팀과 특수본에서 연이어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의혹을 파헤치고도 뚜렷한 결실을 보지 못했다. 게다가 검찰 윗선들이 지난해 우 전 수석과 자주 통화했다는 사실이 특검 수사에서 드러나면서 수사 신뢰성에도 타격을 입었다. 특검에서 공을 넘겨받은 검찰이 우 전 수석 수사를 두고 새로운 시험대에 오르는 모양새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3일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게 “특수본을 재정비해 특검 인계 사건을 차질없이 수사하라”고 지시했다. 검찰은 이날 특검에서 수사기록·자료 일체를 인계받는 등 수사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검찰은 오는 6일까지 수사 인원과 분야별 사건 배당을 결정하는 등 수사팀 정비를 완료할 계획이다. 특수부·첨단범죄수사부·형사부 등 2~3개 부서가 주축이 되는 제2기 특수본이 출범하게 됐다. 다만 특검 수사로 사건이 줄어든 만큼 1기 특수본보다 상대적으로 규모는 축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앞으로 특수본이 수사를 시작하면서 우선 겨냥할 수 있는 수사 대상은 우 전 수석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다. 특검이 뇌물 혐의 피의자로 입건해 넘긴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나 롯데·SK·CJ 등 대기업 뇌물 의혹 수사 등과 달리 수사에 영향을 줄 변수가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검찰은 우 전 수석을 둘러싼 직권남용, 개인 비리 의혹 등을 겨냥해 두 차례나 전담 수사팀을 꾸려 집중 수사했지만 혐의 입증에 실패한 전력이 있다. 게다가 김 총장을 비롯해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 등이 우 전 수석과 수시로 연락한 정황이 특검 수사에서 포착됐다. 통화 당시가 우 전 수석이 아들 보직 특혜, 가족회사 ‘정강’ 자금유용 등 의혹으로 수사선상에 오른 때라 검찰에 대해 ‘제 식구 감싸기다’ ‘봐주기 수사다’라는 비판이 나온다.

관련기사



최근 검찰이 곧바로 수사에 착수하는 쪽으로 방침을 세웠다고 알려진 것도 앞선 수사 실패와 윗선과의 통화 등 구설을 염두에 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하루라도 수사를 머뭇거린다는 인상을 줄 경우 받게 될 불필요한 오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는 검찰에 있어 기회이자 위기일 수 있다”며 “세 번째 우 전 수석 수사마저 실패하면 검찰은 전체 조직 자체가 흔들릴 수 있으나 반대로 구속 등 결실을 본다면 신뢰성을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