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치매 치료 새 길 열리나

KAIST, 단백질 변형기술

동물모델 세계 첫 적용

암·치매 등 퇴행성 질환을 일으키는 마우스 동물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간이나 폐 등 특정 조직·기관 내의 특정 단백질을 비정상적으로 변형시켜 질병 치료 연구에 필요한 암·치매 등의 질환을 고의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동물 모델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는 식약처의 용역을 받아 박희성 카이스트 교수와 박찬배 아주대학교 교수 공동 연구팀이 수행했으며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2만 여 종의 단백질은 아세틸화·인산화·당화 등의 변형을 거쳐 생체 내에서 세포 신호 전달, 성장 등의 신진대사 활동을 조절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변형이 일어나면 암이나 치매·당뇨 등 질환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마우스 동물 모델은 이중 아세틸화 반응을 비정상적으로 일으켜 체내 단백질 변형이 생기도록 만든 것이다. 안전평가원은 이 동물 모델이 암이나 치매 등 질병의 원인 규명 연구와 맞춤형 표적 항암제 등 신약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