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기대수명 길어도 "난 건강치 못해" 불안한 한국인

"난 건강" 응답비율 30%대...OECD 평균 절반수준

한 병원에서 의료진이 환자를 살펴보고 있다. /서울경제DB한 병원에서 의료진이 환자를 살펴보고 있다. /서울경제DB


한국인들 세 명 중 한 명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건강 통계 2016’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5세 이상 인구 중 본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2.5%(2014년 기준)였다. OECD 회원국 평균(69.6%)에 비하면 절반 이하 수준이다. 뉴질랜드와 호주는 각각 91.4%, 85.2%였고, 캐나다·미국도 88.1%로 집계됐다.


이처럼 자신의 건강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30%대에 불과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이 유일했다. 일본은 2013년 기준으로 35.4%였다.

관련기사



하지만 실제로 한국의 기대수명은 82.2년으로 OECD 평균인 80.8년보다 1.4년 길다. 일본의 기대수명은 83.7년으로 가장 길었다. 양국은 기대수명이 높은 편인데도 건강에 대한 우려가 많은 셈이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게 표현하지 않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신의 건강마저도 조심스럽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또 답변 척도가 국가에 따라 다른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답변 척도가 ‘매우 좋음-좋음-보통-나쁨-매우 나쁨’인 나라보다 ‘최상-매우 좋음-좋음-보통-나쁨’인 국가에서 자신의 건강이 양호하다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