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봄철 논밭두렁 태우기 득보다 실이 크다

농진청, 해충 방제 11%·익충 피해 89%…생태환경과 천적류 복원 늦어

농촌에 관행으로 이뤄지는 논·밭두렁 태우기가 병해충 방제 효과는 낮고 오히려 익충 피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논·밭두렁 태우기를 하면 애멸구·벼물바구미·끝동매미충 등을 일으키는 해충류는 11%가 방제되지만 거미·톡톡이 등 농사에 도움을 주는 천적 곤충류는 89%나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농진청이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있는 논·밭두렁 3㎡의 면적에 서식하는 곤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총 8,164마리가 나왔는데 이중 애멸구, 끝동매미충 등 해충은 908마리에 불과했고, 거미와 톡톡이 등 이로운 곤충은 7,256마리로 조사됐다. 특히 벼물바구미?애멸구와 같은 해충은 야산의 땅속과 논밭두렁 잡초 흙속 뿌리에 붙어 월동하기 때문에 불을 놓아도 잘 죽지 않고, 오히려 논두렁에 서식하는 거미와 톡톡이 등 이로운 곤충만 태워 죽이게 된다.

관련기사



또 논·밭두렁은 태운 지 60일이 지나야 식생과 동물상이 서서히 회복하기 시작해 75일이 지난 뒤에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자연생태계의 교란과 파괴로 인한 2차 피해도 우려된다.

정준용 농진청 재해대응과장은 “해충에 대한 직접적인 방제 효과보다 천적 곤충의 피해가 더 크고 오히려 파괴된 생태 환경과 천적류의 복원이 늦어진다는 점을 농업인 교육을 통해 홍보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 집계결과 지난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3,935건으로 연평균 394건이 발생했으며, 주로 3∼5월에 50% 이상 일어났다. 산불의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38%로 가장 높고, 논·밭두렁과 쓰레기 소각이 31%, 담뱃불 등 기타가 31% 순으로 나타났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