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인천'해양도시 주도권' 경쟁 불붙나

부산 극지타운 조성, 해사법원·해경 본청 유치 등 추진

인천 "당위성 없다...해경은 인천 환원이 당연" 반발

부산시가 조성하고 있는 ‘극지타운’ 조감도.   /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가 조성하고 있는 ‘극지타운’ 조감도.   /사진제공=부산시




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에 설립을 추진 중인 ‘극지교육관’ 조감도. /사진제공=인천시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에 설립을 추진 중인 ‘극지교육관’ 조감도. /사진제공=인천시


부산이 ‘해양특별시’를 외치며 해양수도의 패권을 굳히기 위해 나선 가운데 해양도시 인천이 부산시의 움직임에 날을 세우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극지타운(조감도) 조성과 해양경찰청, 해사법원 설립 등 5월 대선을 앞두고 해양 주도권을 둘러싼 두 도시의 경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19일 부산시와 인천시에 따르면 부산시는 부산을 극지연구 메카로 만들 극지타운 조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5~6년 전 지역 정치권 등에서 극지타운에 대한 목소리가 나온 후부터 부산시는 극지연구소와 극지 연구기능 일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협의를 마치고 입지 후보지도 확정한 상태다.

극지타운은 주요국의 연구 등 극지 활동이 늘어나는 가운데 극지 연구·교육·관광의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부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다. 예정 부지는 부산시 남구 용호동 하수종말처리시설 2만3,000㎡ 규모로 제2 극지연구소, 연구지원시설, 극지체험·박물관 등이 들어선다. 사업비는 국·시비 등 1,627억원이다.

부산시는 북극항로의 시·종점이 되는 부산에 제2 극지연구소를 조성하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동삼혁신지구의 해양클러스터와 연계해 북극 중심의 연구를 담당한다는 계획이다. 제2 쇄빙선도 유치해 동삼혁신지구에 연구 조사선 전용부두도 건립한다. 이렇게 되면 기존 인천에 있는 극지연구소는 남극 중심의 연구를 하게 된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지역 조선·해운 업계와 해양·수산 관련 기관, 해양대·부경대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 극지 연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며 “남·북극 진출로인데다 해양 연구인력 및 인프라가 풍부한 부산에 극지 연구·관광·체험시설이 반드시 들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를 포함해 부산시는 최근 대선 공약 과제를 발표하면서 세계 5위권 해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제도·인프라 기반 마련을 첫 공약으로 제시했다. 핵심 내용은 해양특별시 설립 및 지원 특별법 제정과 해사법원 설립, 극지타운 조성, 해양 관련 국제기구 유치, UN 아시아 물류기지 유치 등이다.

부산시의 이 같은 움직임에 인천시는 ‘극지연구소 확대’와 ‘해경 본청 인천 환원’을 대선 정국에서 관철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인천시는 극지연구소가 오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는 체험관·전시실 등을 갖춘 극지교육관 건립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1만317㎡ 규모의 땅을 무상으로 임대했다. 제2 쇄빙연구선 모항 유치에도 적극 나서기 위해 지역 정치권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인천시는 부산시의 극지타운 추진은 극지 연구 기능을 분산해 국가 역량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천시는 또 부산시가 검토하고 있는 해양경찰청 본청 부산유치도 당위성이 없다는 입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극지연구는 인천을 중심으로 집적화해야 하고 해경이 독립한다면 인천으로 돌아오는 게 당연하다”며 “해양도시의 자존심을 지키는 현안이 대선 공약에 반영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상·선박과 관련해 발생하는 소송 및 분쟁을 담당하는 해사법원을 부산에 유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인천시는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서울과 가까운데다 선사가 몰려 있는 인천에 개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조원진기자·인천=장현일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