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월호 인양 비용 비싸다고 반대했던 김진태, 말 바꾸기? “이제는 차라리 잘 됐다.”

세월호 인양 비용 비싸다고 반대했던 김진태, 말 바꾸기? “이제는 차라리 잘 됐다.”세월호 인양 비용 비싸다고 반대했던 김진태, 말 바꾸기? “이제는 차라리 잘 됐다.”




세월호 인양 비용이 많이 들어 반대해왔던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이 이번에 “차라리 잘됐다”며 입장을 번복했다.


세월호 인양 비용 관련 네티즌들은 “인양 착수 7시간 만에 진실을 담은 세월호가 수면 위로 드러났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의 참사 당일 7시간의 행적은 여전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있다”는 비판을 내놓으며 김 의원과는 사뭇 다른 진실규명을 원했다.

지난 23일 김진태 의원은 SBS 라디오 ‘박진호의 시사전망대’에 출연해 “이제는 정말 차라리 잘 됐다,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사회적 비용을 치러왔나”라고 전했다.

과거 김진태 의원은 원형보존 인양의 어려움과 천문학적 인양비용, 인양 시 추가 희생 우려 등을 이유로 세월호 인양 반대를 주장했었다.

지난 2015년 4월에는 “세월호 선체는 인양하지 말자. 사고해역을 추념 공원으로 만들자. 아이들은 가슴에 묻는 거다”라며 하와이 진주만 아리조나호 침몰장소 사진을 게시해 논란이 됐다.


김 의원은 지금도 같은 생각이냐는 질문에 “아니다. 이제 다 들어 올린 마당에 그런 얘기 해봐야 뭐하겠나”라며 “그때는 우리가 좀 신중하게 생각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또한, 김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 세월호 7시간의 행적에 대해 “세월호 구조에 불성실했다고 하더라도 검찰 수사 대상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면서 “헌재조차도 헌법 위반 사유나 대상 자체가 안 된다고 했다. 행적도 전부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행적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진행자의 반문에 김 의원은 “대통령의 행적이 중요한 게 아니라 세월호의 침몰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뭐든 다 갖다 물러난 대통령에게 연결하지 말라”고 말했다.

이러한 인터뷰 내용이 온라인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면서 비난 여론이 확산됐으며 “라디오 듣다 화가 치밀어 꺼버렸다” “욕도 아깝다.” “자기 자식이 저렇게 당했어도 저런 막말을 했을까” 등의 반응을 전했다.

한편, 1073일 만에서야 시작한 세월호 인양에 들어가는 비용은 총 1020억 원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현재 책정된 세월호 인양 관련 예산은 총 1020억 원 가량 된다고 밝혔다.

[사진=jtbc 방송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