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음식점 금연구역 도입에도 매출 늘어" 정부 용역결과 발표

을지대 노진원 교수, 신한카드 빅데이터 활용 분석

“담배업계, 음식점 매출 줄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는 늘어난 셈”

복지부, 28일 금연정책 국제심포지엄 개최



정부가 2012년부터 단계별로 음식점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가운데 식당 매출은 오히려 늘어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보건복지부는 서울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28일 열리는 ‘금연정책의 평가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개최를 앞두고 금연구역 도입이 식당 매출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고자료로 배포했다. 복지부가 연구용역을 맡겼으며 을지대학교 노진원 교수가 연구했다.

노 교수는 한식, 패스트푸드, 커피전문점, 중식, 일식, 일반대중음식, 양식 등 음식점 전 업종의 매출을 식당 면적으로 분류해 분석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가 대상이고 신한카드 빅데이터센터의 매출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했다. 매출액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감안해 보정했다.


우선 2012년 가장 먼저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150㎡ 이상 음식점의 경우 일식, 일반 대중음식점의 매출이 2013년 소폭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회복했다. 나머지 한식, 패스트푸드, 중식 매출은 올랐고 양식, 커피전문점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2014년 금연구역으로 설정된 100~149㎡ 음식점도 대부분의 업종에서 매출이 증가했고 2015년부터 도입된 99㎡이하 식당도 정책 영향을 받지 않았다. 노 교수는 “모든 업종에서 매출이 오히려 증가했고 일식에서 소폭 감소한 경향이 있는데, 이는 후쿠시마산 수산물 파동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담배업계에서는 식당 금연정책 도입으로 매출이 줄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다른 셈”이라고 덧붙였다.

노 교수는 주점 매출액이 조사 대상에서 빠진 것에 대해 “주점은 단란주점영업, 유흥주점영업 등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지 않는 등 전면 금연구역 대상이 아니어서 조사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