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썸inSNS] 안철수에게 종이학이란?



모든 정치인의 꿈은 대통령이다. 또 너도나도 개인적인 출세욕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를 위한 마음에 정치를 시작했다고 강조한다.

동기가 순수하든, 불순하든 간에 정치판은 그리 만만한 동네가 아니다. 각종 이전투구와 권모술수, 마타도어가 판을 치는 승자독식의 정글이다. 아무리 강인한 정신력의 소유자라 하더라도 도대체 뭘 위해 정치를 꿈꾸게 됐는지 혼란스러운 시기가 기필코 찾아온다.


19대 대선주자들도 예외는 아니다. 이들이 좌표를 잃고 방황하는 시기에 초심을 되새기며 다시 희망을 품게 만드는 ‘감정 물건(평소 잘 쓰지는 않지만 이미 삶의 일부를 지배해 버릴 수 없는 물건)’은 무엇일까. 대선 시즌을 맞아 서울경제신문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감정 물건을 취재해봤다.

관련기사



안 후보의 감정물건은 종이학이다. 지난 2012년 안 후보가 청춘콘서트 강연을 마치고 강의장을 내려가던 도중 한 학생이 건넨 물건이다. 빨강·파랑·형광색 등 약 1,000마리의 종이학이 병에 담겨 있다. 병 표면에는 ‘1,000마리 학들의 소원과 7,777개 밝게 빛나는 별빛처럼 모든 사람의 희망이 돼주세요’라는 글귀도 적혀 있다. 진심이 담긴 이 선물은 안 후보가 정치를 꿈꾸는 본격적인 계기가 됐다. 지금도 정치적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 의원실에 이 종이학을 전시하고 있다.

기사가 나간 뒤 안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저는 청년의 눈물을 닦아주고 아픔을 공감하며 정치를 시작했습니다. 초심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더 큰 간절함과 강철 같은 의지로 국민이 주인되는 정치로 바꾸겠습니다”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이번 대선 공약에서도 안 후보는 청년을 위한 질 높은 일자리가 부족하다며 연 2만명씩 5년간 총 10만명을 교육시키겠다고 주장한다. 정치 입문 이후 청년을 위한 정책을 꾸준히 제시하며 뚝심 있는 길을 걸어온 안 후보. 그가 바라보는 ‘청년의 미래’가 곧 ‘대한민국의 미래’로 연결될 수 있을까.

[대선주자, 내 인생의 별이 된 물건]1,000마리 종이학에서 찾은 초심(안철수 편)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