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합참, "북 발사 60㎞ 비행 미사일 ‘북극성 2형’ 판단"

“미사일 기술능력 점검·미중 정상회담 고려”


北 미사일 다종화로 기종판단 애먹어…軍, 핵실험 등 추가도발 주시

북한이 5일 함경남도 신포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 60㎞를 비행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오는 6~7일 열릴 예정인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반응을 떠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을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북극성 2형’으로 추정했다. 북극성 2형은 지난 2월 12일 처음 발사됐으며, 한미 군 당국은 이 미사일을 ‘KN-15’로 명명했다.


애초에는 신포급(2,000t급) 잠수함 기지가 있는 신포에서 발사되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일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상에서 발사되어 SLBM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또 비행거리가 60여㎞에 불과해 ICBM도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합참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오늘 발사한 불상의 탄도미사일은 KN-15(북극성 2형) 계열로 평가한다”면서 “대내적으로는 탄도미사일의 기술적 능력을 점검하고, 대외적으로는 미중 정상회담을 고려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미국 태평양사령부도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을 KN-15 중거리탄도미사일(북극성 2형)으로 판단했다.

북한은 앞으로도 이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 개발한 ‘북극성 2형’은 단 한 번 공개적으로 발사했기 때문에 무기로서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1~2회 추가 발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군 당국의 평가이다. 그러나 2월 첫 발사 때는 500㎞를 비행했지만 이번에는 60여㎞를 날아 개량형을 테스트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기에다 북한이 정상회담을 앞둔 중국의 체면을 고려해 고체 연료량을 조절해 일부러 60여㎞만 비행하도록 했을 가능성도 있다. 발사된 미사일은 신포에서 동해상으로 방위각 93도로 비행했으며 최대 고도는 189㎞에 달했다. 방위각과 최대 고도를 고려하면 고각 발사 형식은 아니지만, 정상적으로 비행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사거리가 최대 2천㎞ 이상으로 추정되는 북극성 2형의 비행거리를 의도적으로 축소했을 것이란 분석도 가능한 상황이다. 한미 정보당국은 최근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기종을 즉각 분석해내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지난달 22일 실패한 미사일도 무수단으로 추정할 뿐 정확한 평가는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다.

북한이 사거리가 비슷한 미사일을 계속 개발해 내고 있는 것도 정보당국의 분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사거리 1,200㎞의 노동미사일과 유사한 사거리 1,000㎞의 스커드-ER, 무수단과 비슷한 북극성 2형 등의 개발 사례가 이를 말해주고 있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오늘 발사한 미사일은 지상의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됐다”면서 “어떤 기종인지는 계속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