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전자, 美 발전용 ESS 시장 공략 나선다…UL 안전 규격 인증 획득

LG전자가 미국 발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UL 안전 규격 인증을 획득,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진은 이번에 ‘UL1741’ 안전 규격을 인증받은 LG전자의 1메가와트(MW)급 대용량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사진제공=LG전자LG전자가 미국 발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UL 안전 규격 인증을 획득,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진은 이번에 ‘UL1741’ 안전 규격을 인증받은 LG전자의 1메가와트(MW)급 대용량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최근 미국 발전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UL 안전 규격 인증을 획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LG전자는 1메가와트(MW)급 대용량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제품의 ‘UL1741’ 인증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MW급 ESS는 주로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대용량 제품이며, PCS는 배터리와 함께 ESS를 구성하는 핵심부품이다. 배터리에 직류(DC)로 저장된 전력을 교류(AC)로 변환해 전력망에 내보내거나 전력망의 교류를 직류로 바꿔 배터리에 저장하는 등 ESS와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UL1741’ 인증은 PCS 관련 미국 안전 규격으로 최대전압, 온도포화, 내전압, 입/출력전력 특성, 과부화운전 등 총 15가지 항목에 대해 엄격한 안전 조건 충족 여부를 테스트한다. 미국 발전사업자들이 ESS 공급기업에 반드시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필수 안전 규격 인증이다.


미국은 빠르게 성장하는 세계 최대 발전용 ESS 시장이다. 미국 신재생에너지 리서치 그룹 GTM리서치는 미국 발전용 ESS 시장규모가 올해 4억4,500만달러에서 2021년 12억8,000만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 전력시장에서는 송전망 노후화 등에 따라 전력공급이 불안정해져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망에 흐르는 전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주파수 조정으로 전력품질을 높이기 위해 대용량 ESS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관련기사



LG전자는 ‘UL1741’ 안전 규격 인증 획득과 함께 ESS와 전력망을 연계하기 위해 필수적인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의 PCS 관련 규격(IEEE1547)과 미연방통신위원회(FCC)의 전자파 규격도 통과했다. LG전자는 그동안 국내에서 한국전력 주파수 조정용 ESS 구축부터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연계형 ESS 구축, 건물의 피크(Peak) 전력 감소를 위한 ESS 구축까지 다양한 ESS 사업을 수행해 왔다.

LG전자는 이번 UL 인증과 국내 ESS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ESS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사업기회가 많은 괌과 하와이, 캘리포니아 지역의 발전용 ESS 사업발굴에 주력하고 이를 미국 전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LG전자 에너지사업센터장 이상봉 사장은 “이번 UL 인증은 LG전자가 ESS 최대 시장인 미국 진출을 본격화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국내에서 인정받은 사업경험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ESS 강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