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몽골 그린벨트 조림지, 몽골에 단계적 이관

산림청, 단계적 조림지 이관·사후관리 교육 등 추진

김용관(사진 왼쪽에서 첫번째)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이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정부 관계자와 한·몽 그린벨트 조림지 이관 서명식을 갖고있다. 사진제공=산림청김용관(사진 왼쪽에서 첫번째)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이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정부 관계자와 한·몽 그린벨트 조림지 이관 서명식을 갖고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은 5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한국과 몽골 정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한·몽 그린벨트 조림지 이관 서명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양국 정부는 사업 완료 후 조성된 조림지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단계적으로 이관해 몽골정부가 관리하도록 했다.

산림청은 지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을 통해 주요 황사 발원지였던 고비사막의 달란자드가드, 바양작 등 몽골 황폐지 3,000여ha에 나무를 심어 푸른 숲으로 바꾸었다.


몽골은 지난 2006년 한·몽 정상회의 이후 ‘황사 및 사막화 방지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을 근간으로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을 추진했고 식목일 제정(2010년), 토지황폐화 및 사막화방지를 위한 법령 제정(2012년), 100만 그루 나무심기 캠페인 전개(2015년) 등 다양한 산림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관련기사



산림청은 앞으로 몽골과의 우호 증진, 그린벨트 조림사업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향후 5년간 성공적인 조림지 이관과 후속사업을 진행하고 주기적인 한-몽 공동운영위원회 개최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안정적인 조림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림지 사후관리법 교육, 공동연구를 통한 능력배양 사업, 공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울란바토르 시민에게 숲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도시숲 조성사업 등을 후속사업으로 추진한다.

김용관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산림청이 10년간 몽골에 녹색희망을 심었다”며 “그동안의 사막화방지 조림 경험을 바탕으로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과 협력해 사막화 방지와 황폐지 복구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